전체 글 687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05: 중세 후기의 과학

제5주 : 중세 후기의 과학 린드버그(Lindberg), 『서양 과학의 시초』중 11~13장 11장 : 중세의 우주 7장~10장까지 로마시대 이후 기독교적 전통에서 그리스와 이슬람의 과학을 동화시키려는 서양 문명의 노력을 보여준 린드버그는, 앞으로 3장에 걸쳐 이 시기의 우주론, 물리학, 생물학을 서술하고 있다. 백과사전 전통의 학자들로부터 우주에 대한 초보적 지식을 물려받은 서양에 플라톤의 저작이 소개되면서 플라톤 철학과 신학의 우주론을 조화시키려는 시도가 등장한다. 이런 시도를 한 대표적인 인물들로 티에리(Thierry)와 그로세테스테(Grosseteste)가 있으며, 특히 후자는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반영하여 빛으로부터 우주가 생성되었다고 주장한다. 12세기까지는 우주가 균질하다(homogeneou..

과학사 이야기 2016.04.13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04: 로마, 중세 초, 이슬람의 과학, 서유럽 학문의 부흥

제 4주 : 로마․중세 초․이슬람의 과학 / 서유럽 학문의 부흥 린드버그(Lindberg), 『서양 과학의 시초』중 7~10장 7장 : 로마와 중세 초기의 과학 로마가 그리스를 물리적으로 지배했을지라도 기예적(artistic)이고 지적인 측면에서 그리스는 로마를 지배했다. 로마 지배 초기에 로마 상류 계층에서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함께 사용했다. 당시 학문 활동은 개인적으로 이루어졌고, 학자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후원자(patron)의 기대를 충족시키 위해 로마 청중들의 주목을 끌 수 있는 주제들(실용적 가치가 있거나 그 자체로 관심을 끄는)을 그리스 문헌들 중에서 골라서 선보였다. 의학, 논리학, 수사학이 로마인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과학 혹은 자연철학은 특별한 주목을 받지 못했다. 포시도니우스(Posi..

과학사 이야기 2016.04.12

한스 라이헨바흐, [원자와 우주] 02: 공간

2. 공간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우리가 갖고 있는 거시 세계에 대한 개념을 확장시킨 것을 소개하면서 우리의 논의를 시작해보자.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지식에 따르면, 공간 문제를 해결하면서 이루어진 발전은 오직 거시 세계에서만 지각 가능한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천문학의 문제들 속에서 공간의 새로운 이론이 경험적 성취를 얻을 수 있었다. 분명 이러한 발전의 개념적 기초는 역사적으로 유서 깊은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이러한 사고의 발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사상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기원전 3세기에 활동한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 이래로 공간의 과학인 기하학은 고전적인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이는 공간 문제에 대해 이후 이루어진 모든 탐구의 시발점이 되었다. 유클리드는 기하학에 공리..

드라마 '욱씨남정기'를 기다림

나는 평소에 뉴스 이외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거의 보지 않는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 즐겁게 시청하는 드라마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JTBC에서 방영하고 있는 ‘욱씨남정기’다. 배우 이요원에 대한 믿음 같은 게 있기도 했고, 드라마 첫 회부터 드라마의 주제나 서술 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몇몇 지인들은 이 드라마를 일종의 ‘판타지’라고 평가했는데, 나는 이런 평가에 동의한다. 드라마의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 드라마 ‘욱씨남정기’는 조선의 숙종 시대에 서포 김만중이 쓴 소설 ‘사씨남정기’에 대한 21세기적 변주라고 할 수 있다. 한글로 쓰인 조선시대의 소설들이 단순하고 과장된 이야기 전개를 통해 ‘권선징악’을 말함으로써 일반 민중들의 속을 풀어줬던 것처럼, ‘욱씨남정기’ 역시 갑질에 대항하는 을들의 끈질..

과학관 이야기 2016.04.10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03: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헬레니즘 시기의 과학

제 3주 :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헬레니즘 시기의 과학 로이드(Lloyd), 『초기 그리스 과학』중 8장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사항이 있다. 첫째, 그의 자연철학이 동시대의 과학적 문제들과 어떤 관련을 갖고 있는지를 따져야 한다. 둘째, 그 자신이 스스로의 탐구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한 것을 토대로 그의 자연철학을 이해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오르가논(Organon)』과 『분석론 후서(Posterior Analysis)』에서 논리적인 방식(logical treatise)으로 지식 이론을 발전시킨다. 그는 지식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episteme에 대한 정확하고 기술적인(technical) 의미를 제시..

과학사 이야기 2016.04.10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02: '과학의 기원'과 고대 그리스 과학

제 2주 : ‘과학의 기원’과 고대 그리스 과학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에서 플라톤까지- 로이드(Lloyd), 『초기 그리스 과학』중 1~7장 1. 그리스 과학의 배경과 시초 그리스에서 초기 과학이 탄생할 당시 근동 지방의 문명에서 등장한 세 가지의 문화적 성취가 밀레투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 첫째가 바로 기술(technology)이다. 당시에는 금속을 다루는 기술(metallurgy, 야금술)이 상당히 발전해 있었다. 또한 발달된 방적술(spinning and weaving)을 갖고 있었다. 도기 문화(pottery)가 발전해 있었고 이는 당시의 농경 수준이 축산․관개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부분에서 상당했음을 뜻한다. 이 시기에는 문자 문화 자체(writing)가 상당히 발전한 상태였다. 이러한 기..

과학사 이야기 2016.04.09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01: 과학혁명이란?

제1주 : 과학혁명이란? 데이비드 린드버그, 「베이컨에서 버터필드에 이르기까지 과학혁명 개념의 변천사」 버터필드는 1949년에 출판된 책에서 과학혁명이 서양의 역사상 일대의 혁명적 사건이라고 강하게 주장한다. 그리고 과학혁명에 대한 버터필드의 생각은 1980년대까지, 아니 지금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린드버그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평가하기보다는, 이러한 주장이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이어져왔는지를 계보학적으로 간략하게 보여준다. 인문주의와 르네상스(Humanism and Renaissance) 페트라르카, 보카치오 등과 같은 15~16세기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 또한 버터필드와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오랜 어둠의 시기를 깨고 고전적인 예술과 문학을 부활시킨 장본인(instigato..

과학사 이야기 2016.04.08

한스 라이헨바흐, [원자와 우주] 01: 들어가며

원자와 우주 현대물리학의 세계상 한스 라이헨바흐 에드워드 엘런 옮김 뉴욕, 조지 브래질러 출판사 1957년 저작권은 1933년 맥밀런 컴퍼니에 있음 이 책의 독어판 원본인 “원자와 우주”는 1930년에 출판되었다. 저자의 도움으로 교정되고 최신화된 영어판의 초판이 1932년에 출판되었다. 뉴욕의 조지 브래질러 출판사가 미국판을 출판했다. 저자 서문 이 책에서 제시된 현대물리학에 대한 설명은, 필자가 1929년~30년 사이의 겨울 동안 베를린에서 진행한 라디오 방송 강연을 발전시킨 것이다. 필자는 이 강연들을 통해 물리학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물리적 지식을 전달하고자 했다. 청중이었던 비전문가들이 물리학의 문제들에 대해 매우 큰 관심을 보여주셨기 때문에, 필자는 청중들의 여러 요구들에 부응하기 위해서 기꺼..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22: 끈 이론

제22장: 끈 이론 (Strings) 우리는 지금까지 현대물리학이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상식적인 관점에 상반되는 결론을 이끌어냈음을 살펴보았다. STR은 시간과 공간을 통합했고 절대적 동시성을 폐기했다. GTR은 굽은 시공간을 도입했다. 역행인과, 다중우주, 순간적인 원격작용을 도입하는 양자역학의 해석도 있다. 양자역학과 GTR을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 중 정준 양자 중력이론에 대해서도 잠시 살펴보았다. 양자역학과 GTR을 통합하고자 하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시도가 바로 끈 이론이다. 정준 양자 중력이론이 시간에 대한 큰 함축을 가졌다면 끈 이론은 공간에 대한 큰 함축을 가진다. 끈 이론이 맞다면 우리는 3차원이 아니라 9차원 또는 10차원의 공간에서 살고 있는 셈이 된다. 끈 이론은 발전 초기 단계에 있..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21: 시공간의 형이상학

제21장: 시공간의 형이상학 (Spacetime metaphysics) 21.1. 실체론적 시공간 일반상대성이론(GTR)의 시공간에서 기하는 변동가능하며 물질적 사물들의 존재 여부 및 활동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GTR의 시공간은 뉴턴 시공간처럼 절대적인 것은 아님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GTR의 시공간은 실체론적일까 관계론적일까? 아인슈타인은 이 물음에 대해 실체론적 관점을 지지했다. 이에는 이유가 있었다. 편평한 공간 내에 비유클리드적인 구형 영역이 있을 경우, 이 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을 공간에 의한 것이 아닌 물체들 사이의 관계로 설명하고자 하면 설명이 매우 복잡해진다. 또한 GTR에 따르면, 질량이 밀집된 두 물체가 상호 회전할 때 시공간 곡률의 변화로 인해 주변 공간에 중력파가 퍼진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