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우리나라의 수도권 편중 현상을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이런 수도권 편중 현상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을 것이 분명하다. 예를 들어, 통일신라 시대에는 서라벌(경주) 편중 현상이 있었을 것이다. 수도권 편중이 일어나고, 부와 권력의 집중이 일어나고, 자연스럽게 사람들 사이에서 계급이 분화된다. 이런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별로 혁신도시를 만들었고, 수도권에 있던 공공기관을 지역으로 이전했고, 행정수도를 옮겼고, 국회도 옮기려 한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편중 현상은 계속된다. 고등학교 시절까지 나는 지역 정체성에 대한 개념이 거의 없었다. 그저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에 가는 게 목표였고, 부모님께서 따로 이에 관한 지침을 주시지도 않았다. 그런데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