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72

라우든, [수렴적 실재론에 대한 논박] 요약 정리

1. 문제 인식론적 실재론은 일종의 경험적인 가설이며 이는 과학적 활동을 설명하는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는 논자들(보이드Boyd, 뉴턴 스미스Newton-Smith, 시모니Shimony, 퍼트남Putnam, 프리드만Friedma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하면 인식론적 실재론은 경험적인 시험에 열려 있다. 그러나 인식론적 실재론은 역사적 증거들을 통해서 입증되는 것이 아니라 논박된다. 2. 수렴적 실재론(Convergent Epistemological Realism, 줄여서 CER) ① 수렴적이고 인식론적인 실재론의 주장 R1) (적어도 ‘성숙한’ 과학에서의) 과학적 이론은 대개 근사적으로 참이며, 해당 영역에서의 좀 더 최신 의 이론은 이전의 이론에 비해서 더 참에 가깝다. R2) 성숙한 과..

최소주의에서의 의미론, 화용론, 형이상학

최소주의에서의 의미론, 화용론, 형이상학 1. 여는 말 : 언어철학의 삼중주- 의미론, 화용론, 형이상학 언어는 세계에 대한 창이기도 하지만 인간에 대한 창이기도 하다. 세계에 대한 창으로서의 언어는 주로 수학과 물리학, 즉 자연과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언어를 우리는 이른바 ‘형식언어’라고 부른다. “같은 것에 같은 것을 더하면 서로 같다”,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는 상호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서로를 끌어당긴다”, “정지 질량이 인 물체는 의 에너지를 가진다” 등의 문장들은, 비록 인간이 가진 언어의 형식을 빌리고 있다 하더라도, 세계에 존재하는 현상 일반(수 및 물리적 대상)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세계에 대한 이러한 진술들의 참과 거짓은 인간과 무관하게 객관적인 성질을 갖지 ..

구식 사람이 되는 일

나도 한때는 이런저런 최신 유행들에 발 빠르게 맞춰가는 사람이었다. 약간 유치한 예일 수도 있겠지만, 나는 학생시절 가장 최신의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일주일에 몇 번씩 게임 매장을 들락거렸다. 음악을 듣는 것도 좋아해서,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늘 음반매장에 들러 새로 나온 음반이 있나 살펴보았다. 최신 판본의 개인용 컴퓨터와 게임기 등에 흥미를 가져 매달 발행되는 컴퓨터 잡지를 들여다보았다. 나에게도 최신 유행을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게 아는 것이 제법 중요한 시절이 있었다. 대학원에서 공부를 할 때도, 나 자신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 최신의 논문 정보를 잘 모르는 것을 스스로 용납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그 시절 나는 착실하게 인터넷 논문정보 사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했다. 그런데 취직을 하고..

일상 이야기 2016.07.23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6

카플란(Kaplan)의 지표사 이론 ◎ 가능세계 의미론과 직접지칭이론 ① 가능세계 의미론의 중심 아이디어 : 프레게가 말하는 뜻(sense, 내포)은 가능세계로부터 지시체(reference, 외연)로의 함수로 간주될 수 있다. 종 류 뜻(내포) 지시체(외연) 고유명사 f : 가능세계 → 대상 대상 한정기술구 f : 가능세계 → 대상 대상 술 어 f : 가능세계 → f* : 대상 → 진리치 문 장 f : 가능세계 → 진리치 진리치 진리함수연결사 f : 가능세계 → f* : 진리치 → 진리치 양 화 사 f : 가능세계 → f* : 함수 → 진리치 양상연산자 f : 가능세계 → f..

채권계약기초 요약 정리 04

□ (10차시) 채무자 변경, 개인 법인에 공통된 변동, 개인의 변동 * 용어정리 - 채무자 변경: 광의로는 종래의 채무자를 새로운 채무자로 변경하거나 또는 종래의 채무자에 새로운 채무자를 추가하는 제도. 협의로는 종래의 채무자를 새로운 채무자로 변경하는 것 - 도달의 간주: 금융기관에서 발송한 통지나 서류가 채무자에게 연착하거나 도달하지 않은 경우 연착이나 미도착에도 불구하고 도달한 것으로 보는 것 - 상속: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재산상 권리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는 것 - 단순승인: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권리의무를 무제한 또는 무조건적으로 승계하는 것 - 상속포기: 상속재산에 속하는 모든 권리의무의 승계를 포기하는 것 - 포괄유증: 상속재산의 전부 또는 일정비율에 따르는 유증 - 특정유증: 상속재산 가운..

과학관 이야기 2016.07.21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5

그라이스(Grice)의 함축 이론 ◎ 지시적(indicative) 조건문과 가정법적(subjunctive) 조건문의 차이? 예) 만약 태양이 x분 후에 사라진다면, 지구는 y분 후에 캄캄해질 것이다. ◎ 강한 이론가들의 상이성 논제(divergence thesis) 예) 만약 철수가 미국에 있으면, 철수는 박사과정을 계속 하고 있다. (나의 발화) p : 철수가 미국에 있다. q : 철수가 박사과정을 계속 하고 있다. 나 : 철수가 유학간 것을 알고, 철수는 학위를 마치면 한국으로 돌아오겠다고 약속했다. 철수의 약속 : 조건문을 주장하는 근거, 비진리함수적 근거, 간접조건 ☞ 그라이스의 비판 : 간접조건은 p와 분리 불가능하며 취소 가능하다. “if p then q”를 동일한 논리적 의미를 가진 “not..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4

그라이스(Grice)의 함축 이론 ◎ 썰의 언화행위론(계속) ※ 썰(Searle) : 발화수반행위의 본성 규명 → 발화수반행위는 규칙의 지배를 받는 관습(convention)이다! →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약속(promise)임 ※ 발화수반행위의 조건 9가지(핸드아웃 참조) ① input-output condition ② ③ ‘다음 주까지 은행을 털어서라도 돈을 값겠다’와 같은 예를 배제하기 위한 조건 ④ preparatory rules condition 1 ⑤ preparatory rules condition 2 ⑥ sincerity condition ⑦ essential condition / "obligation" : 기타 발화수반행위들과 약속을 변별하는 요소 ⑧ (언어적 특징) 화자와 청자가 ..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3

오스틴(Austin)과 썰(Searle)의 언화행위론 ◎ 프레게의 형식 의미론(계속) ※ 프레게의 추측: 모든 의미론적 조합성이 합수적 적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All semantic compositionality can be explained as functional application. 이후, 형식 의미론을 과학언어가 아니라 자연언어에 적용하려는 시도. ○ 데이빗슨(Davidson)의 전통 : 형식 의미론은 타르스키의 진리 이론에 의해서 가능하다. → 타르스키 진리 이론 : 문장의 고유명사에는 지시체가 있지만 열린 문장 및 술어, 함수에 대응하는 지시체(reference)는 없다. 다만 이 경우에는 대상이 술어를 ‘만족시킨다’, ‘만족시키지 않는다’만 적용된다(satisfaction). → 이..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2

형식 의미론 서설 1 고틀로프 프레게(Gottlob Frege, 1848~1925)는 세 가지의 학문 분야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학자였던 프레게는 기존의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과 대비되는 수리논리학을 창시했다. 또한 그는 언어철학, 특히 현대 형식 의미론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저서『산술의 근본 법칙』에서 프레게는 최초로 의미의 본성에 대한 중요한 질문들을 형식화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분석철학의 창시자로, 그의 작업이 없었다면 이른바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회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수학자로서의 프레게는 이른바 논리주의 프로젝트를 시도하는데, 이는 수학 특히 대수학(algebra)을 논리학으로 환원시키려는 시도였다. 프레게가 논리주의 프로젝트를 시도하게 된 데에는 두 가지의 이유가 있었다고 생각된..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1

언어철학이란? / 형식 의미론의 간략한 역사 언어철학이란? 기존에는 대륙철학과 분석철학적 전통이 분명히 구분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그 둘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일례로 기존의 과학철학과는 상당히 다른 성격을 띤 토머스 쿤(Thomas Kuhn)의 철학은 대륙철학에서의 구조주의 혹은 후기 구조주의와 유사한 성격을 보인다. 쿤이 프랑스의 과학사학자 코이레(A. Koyré)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 또한 참고하자. 그리고 과학철학과 밀접히 연관된 언어철학적 전통에서도 언어적 진술의 참과 거짓이 논리적 성격이 아닌 맥락적(contextual) 성격에 의해 좌우된다는 논의가 활발하다. 얼핏 보면 영미철학이 대륙철학의 요소들을 상당부분 포섭하려고 하는 것 같다. 이런 현상이 포섭(i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