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90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21: 생체기술, 특허, 정치학

생체기술, 특허(patent), 정치학(politics) ① 케이(Kay),「사이버네틱스, 정보, 생명 : 유전에 대한 기록적 표상들의 출현」 ② 콜러(Kohler),「초파리 : 실험실의 생명」 ③ 고딜리에르(Gaudilliere),「생체기술계의 전역화와 규제」 ④ 부고스(Bugos) & 케블스(Kevles),「지적 재산으로서의 식물」 ⑤ 아비르암(Abir-Am),「큰분자의 정치학」 독서를 늦게 끝마쳤기 때문에(지금 시각 오후 3시 5분, 수업은 오후 4시 시작이다) 아주 간략하게 독서소감을 쓰겠다. 케이는 사이버네틱스를 ‘담론의 차원’에서 접근한다. 노버트 위너 등으로부터 개발된 새로운 담론인 사이버네틱스는 세계 2차대전이라는 전쟁의 맥락에서 파생되었다. 2차대전을 통해 적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방법, ..

과학사 이야기 2016.05.01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20: 현대물리학과 원자폭탄

현대물리학과 원자폭탄 ① 홍성욱, 이상욱 외『뉴턴과 아인슈타인』중 아인슈타인에 대한 장들 5장 : 아인슈타인, 영재였나 둔재였나(장회익)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879년 3월 14일 독일 울름에서 태어났고, 곧 뮌헨으로 이사가게 된다. 아인슈타인은 우량아로 태어났고, 말 배우는 속도가 느려서 주위 사람들이 걱정했으나 2살 무렵이 되면 능청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공부를 곧잘 했으나 유달리 눈에 띄는 ‘천재’는 아니었다. 무작정 외우는 것을 싫어했고, 군인들이 행진하는 모습을 보면서 몸서리쳤으며, 단순한 계산보다는 논리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문제를 푸는 데 소질이 있었다. 또한 놀라운 집중력을 갖고 있었는데, 일례로 그는 카드로 14층의 건물을 쌓아올릴 수 있었다. 이는 고도의 집중력과 인..

과학사 이야기 2016.04.30

토머스 쿤에 대한 단상

나는 미국의 과학사가이자 과학철학자였던 토머스 쿤(Thomas Kuhn, 1922-1996)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을 갖고 있다. 나는 학부시절 조인래 교수님의 과학철학 수업을 계기로 그의 책 [과학혁명의 구조]를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2002년 또는 2003년). [구조]는 매우 매력적인 책이었지만, 책을 읽으면서도 나는 그의 책이 주장하는 바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없었다. 그는 과학과 관련한 너무 크고 중요한 주제에 대해서 너무 허술한 방식으로 주장하고 있었고, 나는 그의 주장이 역사적인 주장인지 철학적인 주장인지를 잘 구분할 수 없었다. 나는 [구조]를 읽으면서 그의 책이 위험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러한 위험한 책이 과학철학에서 그렇게나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은..

일상 이야기 2016.04.29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19: 과학, 기술, 산업

과학, 기술, 산업 ① 홍성욱, “과학과 기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역사서술적(historiographical) 층위들” 과학과 기술 사이에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입장과, 과학과 기술은 근본적으로 구분된다는 입장이 있다. 기술은 과학의 응용에 지나지 않는다, 즉 기술은 응용과학(applied science)이다라는 견해에 대해 반대한 집단은 기술사학회(Society for the History of Technology)의 회원들이었다. 이들에 의하면, 기술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독자적인 집단이 있어고, 그 집단에는 독특한 규율과 규범이 있었다. 기술은 응용과학, 과학에 종속되는 부차적인 과학이 아니라, 과학과 대등하게 상호작용하는 독자적인 영역이라는 것이다. 코이레, 홀, 웨스트팔, 길리스피 등도 과학과..

과학사 이야기 2016.04.29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18: 과학과 의학에서의 실험실과 현장

과학과 의학에서의 실험실과 현장(field) ① (지난 주에 이어) 프랭크 터너(Turner), 1880-1919년 사이의 영국 대중과학 (1980) 총평 :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았던 논문. 시기에 따라 적합한 정치사회적 전략을 사용하면서 과학자들이 전문가라는 자신들의 입지를 굳혔음을 보여주려 하는 것 같다. 특히 영국 대중과학자들은 1880년-1919년 사이에 과학이 근대적 시민 교육에 중요하다는 것, 과학이 여러 가지 정치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 과학이 전쟁 수행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과학자 집단을 형성하고 사회적인 지위와 입지를 형성해나갔다. 부분적 메모 : intellectual content, methodological orientation, and profes..

과학사 이야기 2016.04.28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17: 화학 혁명과 프랑스 혁명

화학 혁명과 프랑스 혁명 ① 라부아지에(Lavoisier),『새로운 체계적 질서 속에서의 화학 원소』 총평: 라부아지에의 원문을 읽으면서 두 가지 측면에 눈에 띄었다. 첫째, 라부아지에는 과학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사실(fact), 개념(concept), 언어(langauge)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사실에 기반해서 이에 적합한 개념과 언어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둘째, 여전히 라부아지에는 열소(caloric) 개념에 의거해서 여러 종류의 열 현상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그의 화학 체계가 현대의 화학 체계와는 개념적으로 상당히 달랐음을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측면에 관해서는, 정확한 과학으로서의 화학을 새롭게 정립하려는 라부아지에의 야심 및 패기를 느낄 수 있었다. 두 번째 측면에 관해서는,..

과학사 이야기 2016.04.27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16: 뉴턴과 뉴턴주의

뉴턴과 뉴턴주의 ① 알렉상드르 코이레,「뉴턴적 종합의 의의」(전형적인 지성사적 분석) 뉴턴은 질적, 감각적 지각의 세계, 일상 생활의 세계를 정확성, 엄격하게 결정되는 아르키메데스적 세계로 전환시켰다. 그는 기하학이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천문학과 물리학을 통합시켰다. 물질, 운동 등과 같은 근본적인 개념들에 변화가 일어났고, 운동은 더 이상 과정(process)이 아닌 상태(status)가 되었다. 움직임과 정지함은 (둘 다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서로 구분되지 않게 되었다. 뉴턴은 지상계에 수학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수학적 존재들을 물리적 존재들로 변경시켜야만 했는데, 이를 위해 그는 ‘유율(흐르는 비율, flux)’을 수학에 도입했다. 결과적으로 뉴턴은 갈릴레오가 시도했지만 실패했던 ‘자연의 ..

과학사 이야기 2016.04.26

한스 라이헨바흐, [원자와 우주] 04: 운동의 상대성

4. 운동의 상대성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그 이름을 본뜬 운동의 상대성 개념은,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번쯤은 경험해 본 다음과 같은 단순하고 생생한 경험을 그 근원으로 갖는다. 모든 사람들은 기차 안에 앉아서 자신이 탄 기차가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옆 선로에 있는 기차가 그 때 마침 움직이기 시작해서 마치 자신이 탄 기차가 움직이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받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경험은 주변에서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다. 다리 위에 서서 흘러가는 물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다리가 반대편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풀밭 위에 누워 구름이 흘러가는 모습을 바라보면, 어느 순간에 구름은 멈춰 있고 나뭇가지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경험들은 우리의 감각에 아주..

번역에 대한 단상

돌이켜보면 나는 번역을 아주 오래 전부터 해왔다. 중학교에서 영어를 배울 때 선생님께서는 숙제로 영어 지문을 번역해서 제출하라고 하셨다. 그래서 집에 돌아와 두꺼운 사전을 옆에 끼고 지문 한 문장 한 문장을 번역했던 기억이 난다. 고등학교에 들어가서는 지문을 번역해서 제출하지 않았다. 하지만 영어 선생님께서 수업 때마다 학생 한 명을 지적해서 영어 교재 지문을 한 문장씩 읽고 해석해보라고 하셨기 때문에, 우리들은 수업에 대비하기 위해서 대략적으로라도 지문의 문장들이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정리를 해 두어야 했다. 이렇듯 나는 나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아주 오래 전부터 영어 번역을 연습하고 있었다. 학부 4학년 때에는 졸업 논문을 쓰기 위해서 라이헨바흐가 쓴 교수자격논문(소책자)을 번역했다. 아주 학술..

일상 이야기 2016.04.24

서양과학사 독서노트 15: 근대 과학사의 여러 측면들

① 『뉴턴과 아인슈타인, 우리가 몰랐던 천재들의 창조성』 책머리에 : 뉴턴, 아인슈타인 등과 같은 과학의 천재들에 대한 환상적인 상(象)이 있다. 이러한 천재들은 일반적인 사람은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갑작스러운 영감을 통해서 위대한 물리 이론을(뉴턴의 경우 중력법칙, 아인슈타인의 경우 상대성이론) 만들어낸다. 대개 과학의 천재들은 고독하고 고립된 생활 속에서 과학 이론을 개발한다. 이전까지의 과학적 전통이 무엇이었는지, 또한 뉴턴과 아인슈타인이 당대의 다른 과학자들과 어떤 상호작용을 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당대의 역사적․문화적 분위기와 각종 사건들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는 제대로 고려되지 않는다. 현대 사회의 일반인들에게 퍼져 있는 천재 과학자의 상은 편파적이고 일면적인 것이다. 따라서 과학학을 전..

과학사 이야기 2016.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