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72

그라이스, [지시적 조건문] 요약 정리

그라이스(Grice), 『Studies in the Way of Words』중 2~4장 제2장 : 논리와 대화(Conversation) 논리학에서의 ~, ∧, ∨이 일상언어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형식주의자들(formalists)은 형식체계를 통해 다양한 문장을 생성하고 이를 자연언어와 대응시킨 후, 대응되는 부분이 없을 경우에는 자연언어에 결점이 있다고 한다. 반면 비형식주의자들(informalists)은 자연언어에는 형식체계로는 구현될 수 없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라이스가 생각하기에 형식주의자들․비형식주의자들 모두 대화를 지배하는 조건(이른바 함축implicature)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함축(Implicature) 말해진 것과 함축된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함축하다(..

지식인의 유체이탈 화법에 대하여

“절대 현혹되지 마라.” 얼마 전 개봉했던 영화 ‘곡성’에 나오는 말이다. 약간 다른 맥락이긴 하지만 나 역시 ‘현혹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마음에 새기면서 살기 위해 노력한다. 그렇다면 무엇에 현혹되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그것은 이른바 지식인들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겉만 번지르르한 이야기들이다. 아주 어렵고 고매한 지식을 현학적으로 늘어놓거나, 마치 자신은 우리 사회의 일원이 아닌 것처럼 세상에서 돌아가는 여러 현상들에 대해 비판만 늘어놓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믿을 필요는 없다. 비판이 겨누고 있는 현상을 낫게 하거나 바로잡게 하기 위해서 쓴 소리를 하는 것이 가치 있는 비판이다. 그저 비난하고 공격하기 위한 것은 제대로 된 비판이라 할 수 없다. 내가 학부시절부터 곰곰이 생각해 온 지식인의 행태가 ..

일상 이야기 2016.06.25

써얼, [언화행위] 요약 정리

제1장 : 방법(Methods)과 범위(Scope) 1. 1. 언어철학(The philosophy of language) 언어철학은 지시(reference)․진리(truth)․의미(meaning)․필요성(necessity) 등과 같은 언어의 특정한 측면들을 기술함으로써 철학적인 통찰을 얻으려는 작업이다. 1. 2. 언어적 특성(Linguistic Characterizations) 언어적 특성(Linguitic Characterization)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표현은 무엇을 지시(refer)한다, 어떤 표현은 의미가 없다(make no sense), 어떤 표현은 분석적(analytic)이다 등. 언어적 특성들에 대해서 설명하거나 언어적 특성들로부터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언어적 설..

하임&크라처, [생성 문법의 의미론] 요약 정리

제1장 : 진리조건적 의미론과 프레게 프로그램 우리는 어떻게 소수의 음절들만을 갖고 무수히 많은 생각들을 표현할 수 있으며, 어떻게 이전까지는 전혀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문장들 또한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러한 언어적 현상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만약 우리의 생각이 몇몇 부분들(parts)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 부분들이 우리가 구사하는 문장(sentence)의 구성 성분들과 대응된다면, 따라서 문장의 구성 성분들의 다양한 조합이 우리의 사고를 마치 거울처럼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우리의 언어 활동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만약 이 가설이 옳다면, 우리는 적은 수의 문장 구성 성분들이 어떻게 많은 수의 문장들을 조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해 프레게는 다음과 같은 추측을 ..

오스틴, [말과 행위] 요약 정리

J. L. 오스틴 지음, 김영진 옮김, 『말과 행위』 제 1강의 문장에는 단순히 진술문(statement)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명령(command), 기원(wishes) 등 다른 종류의 문장들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문장이 어떤 문장인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이들 각각에 대한 정의는 무엇이며 또 그 한계는 무엇인가? 사실에 관한 진술은 ‘검증할 수’(verifiable) 있어야 한다는 견해가 등장했다. 하지만 진술문과 같이 보이는 많은 발화(utterance)가 실제로는 사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기록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거나 또는 의도한다 해도 오직 부분적일 뿐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수행적 문장(performative sentence), 수행적 발화(performa..

레일턴, [확률적 설명에 대한 연역-법칙적 모형] 요약 정리

이 논문에서 레일턴은 헴펠의 연역-법칙적 모형이 보여 주는 기본 틀을 받아들이면서, 귀납적 추론에 의한 설명을 반영하기 위해 헴펠이 도입한 귀납-통계적 모형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헴펠의 귀납-통계적 모형에서 설명의 핵심은 설명항이 피설명항이 발생하리라 믿을 수 있는 좋은 근거(높은 확률)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때 문제는 이 모형으로는 피설명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헴펠은 ‘최대 명세화의 요구’를 도입하지만, 이 요구는 우리의 인식적 상황에 따라 설명이 상대화된다는 또다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레일턴은 통계적 설명의 경우도 연역적인 것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위에서 제기되는 난점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설명해야 하는 어떤 현상이 통계적..

프리드만, [설명과 과학적 이해] 요약 정리

이 논문에서 프리드만은 우리가 과학적 설명으로부터 어떻게 세계에 대한 이해를 얻는지를 주목하고, 과학적 이해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 특성들을 추려내어 설명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수립하려 한다. 그에 의하면 이전까지 등장한 과학적 설명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설명이 어떤 내적 관계를 만족해야 하는지는 정확하게 제시하지만, 설명에서의 관계와 과학적 이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별다른 주목을 하지 못한 이론들(헴펠Hempel, 네이글Nagel 등)이다. 둘째는 설명에서 이해가 차지하는 비중을 높게 두기는 하지만, 이 때 이해의 본성이 뭔지를 제대로 밝히지는 못한 이론들(툴민Toulmin, 스크리븐Scriven, 드래이Dray)이다. 헴펠의 모형에서 설명항은 피설명항을 ‘연역적으..

낯선 집으로의 초대

나는 나라는 개체 바깥에 나의 생물학적 생명과는 별개로 지속할 수 있는 하나의 집을 짓고 있다. 이 온라인 공간이 바로 그러한 집이다. 나 스스로가 이 집에서 종종 휴식을 취하지만, 내가 단순히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만 이 집을 짓고 꾸미는 것은 아니다. 삶이 혼자이기만 하다면 얼마나 고독하고 쓸쓸하겠는가. 나는 나의 집에서 나의 친구들 또한 쉴 수 있기를 바란다. 음악을 듣고 싶으면 음악을 들으라. 마음에 드는 글이 있다면 글을 읽어도 좋다. 나는 친구들에게 아무런 강요도 하지 않는다. 나의 집에서 그저 마음 편하게 쉬고 즐기다 돌아가시라. 다만 훗날 나와 나의 집을 기억해주시라. 내 집의 분위기를, 내가 말하고자 했던 것들을 잊지 말아 주시라. 쓰는 것은 시간이 걸리지만 읽는 것은 금방이다. 이는 글 ..

일상 이야기 2016.06.18

카트라이트, [법칙은 많은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 요약 정리

낸시 카트라이트, 「법칙(truth)은 많은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의 카트라이트의 핵심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법칙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전까지의 설명 이론들(헴펠Hempel의 D-N 모형, 새먼Salmon의 S-R 모형)과는 달리 과학에서의 보편 법칙은 실제의 과학적 설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 둘째, 우리가 실제적 현상을 설명할 경우 과학의 서로 다른 세부 영역에서의 다양한 제한 법칙들(‘다른 조건들이 같다면ceteris paribus’을 가정하는 법칙들)을 사용하며, 따라서 이 때 설명을 설명이게끔 하는 것은 보편 법칙이 아니라 해당 현상을 어떤 제한 법칙들을 통해 설명할 지를 결정하는 설명하는 사람의 ‘선택(decision)’이다. 카트라이트가 자..

채권계약기초 요약 정리 01

□ (1차시) 여신거래, 금융기관, 거래상대방 * 용어정리 - 여신거래: 금융기관이 거래처에게 제공하는 일체의 신용공여행위 - 채권: 측정인(채권자)이 다른 특정인(채무자)에 대하여 특정의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 계약: 사법상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둘 이상 당사자의 의사표시 합치로 성립하는 법률행위 - 효력규정: 강행법규에 위반한 경우 그 사법상 효력이 부인되는 것 - 단속규정: 강행법규에 위반한 경우에도 그 사법상 효력은 인정되는 것 - 거래상대방: 금융기관으로부터 금전을 차입하거나 기타 신용을 공여 받은 자 * 여신이란 신용을 공여하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 채권이란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 대해서 특정의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 여신거래에서 채권은 통상 ..

과학관 이야기 201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