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72

양자역학의 철학 독서노트 04

Hughes, R. I. G.(1989), The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hapter 8(pp. 218-258). 05주: 확률의 문제(확률, 인과성, 그리고 설명) “양자역학적 현상은 왜 힐버트 공간에 대한 수학적 형식이론을 통해 표상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휴즈는 다소 사후적인(혹은 변호하는vindicating) 설명을 3장에서 제공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즈의 설명을 ‘임시방편적’인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운데, 왜냐하면 그는 힐버트 공간에 대한 수학적 형식이론이 갖는 여러 구조적인 특징들을 조목조목 따져가며 이 이론이 양자역학적 현상을 서술하는 데 왜 적합한지를 ..

양자역학의 철학 독서노트 03

Hughes, R. I. G.(1989), The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hapter 3(pp. 83-118). 04주: 물리이론과 힐버트 공간 형식이론 휴즈는 2장에서 상태와 물리량에 관한 힐버트 공간 형식이론을 다루었다. 뒤이은 3장에서 휴즈는, 왜 힐버트 공간 형식이론이 물리적 세계를 표상하는데 있어 적합한 이론인지를 논한다. 우선 물리이론이 성립되기 위한 최소한의 가정들을 살펴보자. 물리이론이 수립되기 위해서는, 특정하게 구체화가능한 상황에서 다양한 사건들에 확정적인 확률값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특정 물리량에 대한 산출값들에 유리수의..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회고

나는 1982년생이다. 이는 내가 한국에서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렀음을 의미한다. 많은 사람들은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최악의 물수능’이었다고 회고한다. 그만큼 시험이 쉬웠다는 뜻이다. 그러나 ‘물수능’이었다는 사실이 2001년 시험을 치렀던 학생들을 비판하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당시의 시험을 출제한 것은 학생들이 아니라 교육부와 교육과정평가원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물수능’이 아니라 나라는 개인이 경험했던 200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기억해보고자 이 글을 쓴다. 나는 1999년 7월에 부산과학고등학교(현 한국과학영재학교)를 그만두었다. 과학고등학교의 주입식 과학교육이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결코 과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다. 사실 고등학교에서 읽었던..

일상 이야기 2016.10.19

양자역학의 철학 독서노트 02

Hughes, R. I. G.(1989), The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hapter 1-2(pp. 28-82). 03주: 상태와 물리량 1장: 벡터공간 1. 5. 복소수 복소수 의 켤레복소수는 이다. 이를 로 표현한다. 복소수 c의 절대값 을 복소수 c의 표준(norm)이라 한다. 표준이 1인 복소수는 을 만족하므로 각 θ에 대해 로 쓸 수 있다. 1. 6. 2차원 복소공간 2차원 복소공간 에서는 두 개의 복소수가 하나의 벡터를 이룬다. 에서도 2차원 실수공간과 유사하게 벡터의 덧셈, 실수배, 0벡터가 정의된다. 에서의 연산자 역시 하나의 벡터를 다른 벡터로 변환하는 ..

양자역학의 철학 독서노트 01

힐버트 공간, 벡터 공간, 벡터, 연산자 플랑크(Planck)가 1900년에 검은물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에너지가 띄엄띄엄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E=nhν), 1905년에 아인슈타인(Einstein)이 빛은 파동이 아니라 알갱이라는(E=hν) 이론을 제시했다. 보어(Bohr)가 자신의 고전적 원자이론(1913년)을 제안할 때 보어는 ‘각운동량의 양자화’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으면서도 ‘대응원리’ 및 고전 전자기학의 요소들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즉, 플랑크에서 보어에 이르기까지의 양자이론은 그야말로 고전물리학적인 직관 및 개념과 양자역학적 직관 및 개념이 뒤범벅된 상태에서 발전했다. 하이젠베르크(Heisenberg)의 행렬역학과 슈뢰딩거(Schroedinger)의 파동역학의 등장으로 이러..

촘스키의 일상언어와 과학이론 이분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촘스키의 일상언어와 과학이론 이분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여는 말 : 촘스키의 일상언어와 과학이론 이분법 언어학자인 노엄 촘스키(Noam Chomsky, 1928~)는 생성문법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현재 그가 주창한 생성문법 이론은 언어학계에서 인간의 언어능력을 잘 설명해주는 성공적인 과학적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언어학에서 촘스키가 일으켰던 혁명은 이제 혁명의 시기를 지나 언어학계 내에서 언어학을 지배하는 안정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촘스키가 일으킨 언어학 혁명의 여파가 단지 언어학이라는 분과영역에만 머무르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언어학에서의 혁명과 더불어 촘스키의 이론은 인간의 언어, 마음, 지칭 등에 대해 이전까지의 언어철학자들이 전개해 온 철학적이고 이..

독서일기

오늘 문득 떠오른 생각. 나는 살아가면서 나의 감각들로부터 온갖 정보들을 얻는다. 내가 의식적으로 얻는 정보들 중에 압도적으로 많은 정보는 시각적 정보들이다. 그런데 시각적 정보들에는 짧은 문장들 역시 자주 포함된다. 예를 들어 나는 오늘 서울로 출장을 왔는데, 동대구역에서 KTX 열차를 기다리면서 나는 역사의 풍경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었다. 내 시야 속에서는 사람들이 서 있거나 벤치에 앉아서 열차를 기다리고 있었고, 열차 정보를 알려주는 전광판에서는 곧 출발하는 열차가 승강장에 도착한다는 짧은 문장을 내보내고 있었다. 내가 눈으로 바라보는 거의 대부분의 공간에서 나는 짧은 문장이나 도형이 가미된 상징 기호들을 본다. 나는 이러한 시각적 정보들과 단편적인 문장들, 실용적으로 유용한 상징 기호들로부터 잠..

일상 이야기 2016.10.15

촘스키, [내재주의적 관점에서 본 언어] 요약 정리

노암 촘스키(Noam Chomsky),「내재주의적 관점에서 본 언어」 촘스키는 이 논문에서 언어, 사고, 마음에 대한 방법론적 자연주의의 탐구방법을 다시 한 번 옹호하면서, 이러한 탐구의 방법이 현재로서는 언어, 사고, 마음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 있어서 내재주의적 접근법을 경험적으로 지지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촘스키는 언어, 사고, 마음에 대한 내재주의적 접근법의 유효성과 타당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내재주의적 접근에 대한 철학적 반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재반박한다. 우선 촘스키는 자연주의적 접근법으로부터 내재주의적 접근법을 구분하려 한다. 그에 따르면, 내재주의적 접근법은 특정 종류의 현상에 관련한 한 유기체의 내적 상태를 이해하려는 접근법이다. 내재주의적 접근법에서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

촘스키, [언어 사용을 설명하기] 요약 정리

노암 촘스키(Noam Chomsky),「언어 사용을 설명하기」 퍼트남은 인간의 언어 말하기 능력은 분리된 상태에서의 이론적 해명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우리 인간은 스스로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해서는 핵심적 자연과학들과 통합될 수 있는 이해가능한 설명적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퍼트남의 생각이다. 또한 퍼트남은 언어에 대한 뇌과학적 탐구는 심리학, 뇌과학과 관련이 있을 수는 있어도 언어의 의미와는 별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퍼트남의 입장을 요약하자면, 언어 말하기에 대한 자연주의적 탐구는 불가능하며, 뇌의 형태 및 과정에 대한 연구는 의미에 대한 이해와는 무관하다. 하지만 촘스키가 생각할 때 퍼트남이 제시하는 ‘인간’이라는 개념은..

촘스키, [언어와 마음 연구에 있어서의 자연주의와 이원주의] 요약 정리

노암 촘스키(Noam Chomsky),「언어와 마음 연구에 있어서의 자연주의와 이원주의」 촘스키는 이 논문에서 언어와 마음 연구에 있어서도 자연과학적 탐구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현대 철학에서의 ‘자연주의적 접근 방법’이 실은 ‘심적인 것’과 ‘심적인 것이 아닌 것’을 구분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자연주의’가 아닌 ‘이원주의’라고 비판한다. 그는 ‘심적인 것’, ‘마음’이라는 용어에 형이상학적 의의를 주지 않으며, 이 용어가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는 대상을 명확하게 구획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촘스키에 따르면 과학에서 과학자들은 과학적 탐구가 진행됨과 동시에 설명 혹은 이해에 대한 그들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개념들을 발전시킨다. 촘스키는 이와 같은 과학적 탐구의 방법을 인간의 언어와 인간의 마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