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72

생명과학통론 독서노트 06

린 마굴리스 지음, 이한음 옮김(2007), 『공생자 행성: 린 마굴리스가 들려주는 공생 진화의 비밀』(서울: 사이언스북스). John Maynard Smith & Eörs Szathmáry(2000), The Origins of Life: From the Birth of Life to the Origin of Language(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5: From heredity to simple cells. 0. 머리말 연속 세포 내 공생 이론(SET, serial endosymbiosis theory) 개념과 가이아(Gaia) 개념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이 책의 핵심 주제이다. (11쪽) 이 책은 행성의 생명, 행성의 진화, ..

생명과학통론 독서노트 05

John Maynard Smith & Eörs Szathmáry(2000), The Origins of Life: From the Birth of Life to the Origin of Language(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4: From the RNA World to the Modern World. Szathmáry(2003), "Why are there four letters in the genetic alphabet?", Nature Reviews Genetics Vol. 4, pp. 995-1001. 효소가 있어야만 DNA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지지만, 이와 반대로 DNA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지만 복잡한 단백질 효소가 생겨난다. 일견 역설적으..

생명과학통론 독서노트 04

John Maynard Smith & Eörs Szathmáry(2000), The Origins of Life: From the Birth of Life to the Origin of Language(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3: From Chemistry to Heredity. Szathmáry(2000), "The Evolution of Replicators",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Vol. 355, No. 1403, pp. 1669-1676. 메이너드 스미스와 서트머리는 『생명의 기원들』3장에서 어떻게 화학적인 물질으로부터 유전적인 특성을 보이는 물질이 형성되었는지를 간단하게 설..

평온한 휴일

오늘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제 내 삶의 많은 부분들이 어느 정도는 분명해졌다. 나는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을 잘 마쳤다. 나는 그럭저럭 괜찮은 성적으로, 아주 뛰어나지는 않은 성적으로 교육과정을 마쳤다. 나는 눈에 띄지 않는 그저 그런 학생이었다. 육군 장교 시절에도 나는 조용하고 평범하게 생활했다. 나는 육군 장교 시절 돈을 어느 정도 모을 수 있었고, 그것이 훗날 사회에 진출하는 데 중요한 밑천이 되었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는 것은 취직 당시 내게 하나의 약점으로 작용하였지만, 운 좋게도 나는 몇 번의 실패 이후 무사히 취직에 성공했다. 대학원에서의 인연으로 지금의 아내와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고 있으며, 집값이 비싸지 않은 곳에서 살아 집 걱정도 별로 없다. 직장에서 나는 존재감을 ..

일상 이야기 2016.11.27

생명과학통론 독서노트 03

John Maynard Smith & Eors Szathmary(2000), The Origins of Life: From the Birth of Life to the Origin of Language(Oxford University Press), chap 2. Eva Jablonka, Marion J. Lamb(2006),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in the major transi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39, pp. 236-246. (1) 내용요약 OL 2장, 주요 전환들(The Major Transitions)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이론은 유기체가 더 복잡해질 것이라는 예측을 하지는 않는다. 다만 유기체가 현재의 환경 속에서..

생명과학통론 독서노트 02

John Maynard Smith & Eors Szathmary(2000), The Origins of Life: From the Birth of Life to the Origin of Language(Oxford University Press), chap 1. Maynard Smith(2000), "The concept of information in biology", Philosophy of Science vol. 67 No. 2, pp. 177-194. (1) 내용요약 OL 1장, 생명과 정보 유기체는 매우 복잡하다 그 기원상 비적응적인 변이들이, 환상적으로 적응한 유기체들의 진화에로 이끌 수 있는 것일까? 이 물음에 답하는 데 있어서 유전(heredity)의 기체(mechanism)를 이해하는 것..

생명과학통론 독서노트 01

자크 모노(Jacques Monod) 지음, 조현수 옮김,『우연과 필연(Le hasard et la nécessité)』(서울: 궁리, 2010) 1. 내용발췌 ① 머리말 12쪽: 과학에 의해 암시되는 생각과 과학 자체를 서로 혼동하는 일은 당연히 피해야 한다. 하지만 과학으로부터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을 극한까지 망설임 없이 끌고 가서 그 완전한 의미를 드러내는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4쪽: 학자는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수호할 줄 알아야 한다. ② 이상한 존재들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 16쪽: 자연은 객관적이지 의도적인 것은 아니다라는 공리 자동계산 프로그램이 겪는 어려움 의도가 깃든 존재들 자기 자신을 스스로 구성해내는 기계 25쪽: 생명체의 구조는 외적인 힘의 작용에 의해서가 아니라, ..

기록으로 남기는 이유

한 때 나는 매일 대학원에서 공부에 전념했던 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나는 2008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지금은 아니다. 현재 나는 직장인으로서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낸다. 나는 대학원에서 공부하면서 많은 책과 논문들을 읽었고, 독서 이후에는 독서 내용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보고서를 쓰거나 독서기록을 남겼다. 대학원 졸업 이후 직장생활을 하다 보니, 예전에 대학원에서 공부했던 흔적들을 그냥 나 혼자만 간직하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대학원 시절 작성해두었던 글들을 내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하기 시작했고, 이제는 대학원 시절에 썼던 대부분의 글들이 온라인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다. 나는 이와 같은 작업을 한 이유를 조금 더 상세하게 서술해보겠다...

일상 이야기 2016.11.18

공공업무 행정사무원

나는 한국의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 직원으로서 5년째 근무하고 있다. 오늘 아침에는 대구 경북대학교 병원에 가서 매년 실시하는 건강검진을 받고 왔다. 건강검진을 통해 나의 신체상태를 점검하고, 나의 건강 상태가 나에게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 데 지장이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의 키는 177센티미터, 체중은 80킬로그램이다. 5년 전에는 178센티미터에 73킬로그램이었으니, 키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고 체중은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체중의 경우 운동을 통해 현재 상태보다 5킬로그램 정도 감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나는 일주일에 2일 이상 근력운동과 심폐운동을 하고 있고, 담배를 피우지 않으며, 술도 소주 반병 이하로 마시기 때문에 현재 기준으로 보았을 때 건강상태에는 크게 문제가 없을 것..

일상 이야기 2016.11.17

[시간과 공간의 철학]을 읽고

근래에 라이헨바흐가 쓰고 이정우 선생님이 번역한 [시간과 공간의 철학]을 다시 읽었다. 재미있었다. 이 책은 내 삶에 무척이나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책을 몇 번째 읽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나는 이 책을 고등학교 시절 처음 만났을 것이다. 그 첫 만남의 장소가 부산의 서면에 있는 영광도서였는지, (지금은 없어진) 동보서적이었는지, 아니면 부전도서관이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고등학생이던 내게 이 책은 퍽이나 어려워서 나는 그 내용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지만, 적어도 나는 이 책이 무엇인가 굉장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쯤은 알 수 있었다. 내게 이 책은 외로운 섬 같았다. 역자인 이정우 선생님은 이 책 이후로 라이헨바흐의 책을 번역하지 않았고, 우리말로 번역된 상대성이론 해설서들 중에 ..

일상 이야기 2016.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