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Kosso),『현상과 실재(Appearance and Reality)』, 94-109쪽. 두 가지 구분되는 질문들: 우리는 “상대성이론은 무엇에 대한 것인가? 혹은 상대성이론이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상대성이론이 옳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라는 물음을 구분해야 한다. 자연이 존재하는 방식: 상대성이론은 자연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기술한다. 즉, 상대성이론은 현상이 아닌 실재를 기술한다. 상대성이론의 개념적 기초는 물리 법칙의 절대적인 특성들과 빛의 속도의 절대성이다. 상대성이론의 기본 뼈대는 상대적인 것이 아니다. 상대성이론에서는 사건들 사이의 시공간적 거리인 ‘간격’이 불변한다. 물론 상대성이론에서의 몇몇 특성들은 상대적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특성들이 상대적인 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