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95

르카나티, [문자 그대로의 의미] 요약 정리 01

르카나티(Recanati), 『문자 그대로의 의미』중 01~02장 한 문장이 발화되었을 때 그것을 ‘문장의 의미’, ‘말해진 것’, ‘함축된 것’이라는 세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문장의 의미는 규약적이고 맥락독립적이며, 말해진 것과 함축된 것은 맥락의존적이고 명제적이다. 최소주의자들은 문장의 의미와 말해진 것을 ‘문자 그대로의 의미’ 범주에 포함시키며 이를 ‘화자의 의미’와 대비시킨다. 최소주의자들은 문장의 명제적 의미가 맥락의존적인 요소에 의해 채워져야(saturate) 할 경우에만 어쩔 수 없이 ‘화자의 의미’ 요소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너는 죽지 않을거야”, “존에게는 아이들 셋이 있어”의 예에서 볼 수 있듯 문자 그대로의 명제적 의미와 실제에서의 의사 소통에 쓰이는 명제적 의미는 서로 구..

서점을 둘러보며

주말이면 아내와 대구 시내에 나가서 이런 저런 구경을 하거나 음식을 사 먹는다. 오늘 점심때는 아내가 쭈꾸미를 먹고 싶다고 했다. 그래서 우리는 대구 동성로에 있는 ‘낭만 쭈꾸미’에 가서 쭈꾸미 볶음을 먹었는데 아주 맛있었다. 점심을 먹고 난 뒤에는 동성로 중심부를 지나쳤다. 시내에서는 동성애를 지지하는 퀴어 축제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그 반대편에서는 보수주의 단체에서도 나와 반대 집회를 하고 있었다. 두 집단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소요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경찰 병력들도 제법 많이 출동한 상태였다. 아내와 나는 이들을 지나쳐 서점 교보문고를 둘러보았다. 서점에서 나는 자연스럽게 2층의 자연과학 코너로 가서 책들을 이리저리 둘러보았다. 눈에 띄었던 책은 웨스트폴이 쓴 뉴턴의 전기인 [아이작 뉴턴]이었..

일상 이야기 2016.06.26

카플란, [지표어 이론] 요약 정리

카플란(Kaplan), 『Demonstrative』중 09~17절 지시사(demonstrative)를 포함하고 있는 명제가 다른 상황에 놓여 있을 때 그 명제의 진리치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 그 진리치와 관계되는 개체는 그 다른 상황의 맥락 속에서 지시되는 개체가 아니라 기존의 맥락 속에서 해당 명제가 평가될 때 지시되었던 개체이다. 반사실적(counterfactual) 상황을 제시해서 유관한 개체를 식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본질적인 특징과 지시사를 통해 지시되는 것과 유관한 특징이 같을 수는 없다. 즉, 지시사가 지시하는 것은 반사실적 상황과 관계가 없다. 모든 지시에는 지시하는 특수한 방식이 있으며, 이 경우 지시의 뜻은 지시의 방식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지시사에 대한 이론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

그라이스, [지시적 조건문] 요약 정리

그라이스(Grice), 『Studies in the Way of Words』중 2~4장 제2장 : 논리와 대화(Conversation) 논리학에서의 ~, ∧, ∨이 일상언어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형식주의자들(formalists)은 형식체계를 통해 다양한 문장을 생성하고 이를 자연언어와 대응시킨 후, 대응되는 부분이 없을 경우에는 자연언어에 결점이 있다고 한다. 반면 비형식주의자들(informalists)은 자연언어에는 형식체계로는 구현될 수 없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라이스가 생각하기에 형식주의자들․비형식주의자들 모두 대화를 지배하는 조건(이른바 함축implicature)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함축(Implicature) 말해진 것과 함축된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함축하다(..

지식인의 유체이탈 화법에 대하여

“절대 현혹되지 마라.” 얼마 전 개봉했던 영화 ‘곡성’에 나오는 말이다. 약간 다른 맥락이긴 하지만 나 역시 ‘현혹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마음에 새기면서 살기 위해 노력한다. 그렇다면 무엇에 현혹되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그것은 이른바 지식인들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겉만 번지르르한 이야기들이다. 아주 어렵고 고매한 지식을 현학적으로 늘어놓거나, 마치 자신은 우리 사회의 일원이 아닌 것처럼 세상에서 돌아가는 여러 현상들에 대해 비판만 늘어놓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믿을 필요는 없다. 비판이 겨누고 있는 현상을 낫게 하거나 바로잡게 하기 위해서 쓴 소리를 하는 것이 가치 있는 비판이다. 그저 비난하고 공격하기 위한 것은 제대로 된 비판이라 할 수 없다. 내가 학부시절부터 곰곰이 생각해 온 지식인의 행태가 ..

일상 이야기 2016.06.25

써얼, [언화행위] 요약 정리

제1장 : 방법(Methods)과 범위(Scope) 1. 1. 언어철학(The philosophy of language) 언어철학은 지시(reference)․진리(truth)․의미(meaning)․필요성(necessity) 등과 같은 언어의 특정한 측면들을 기술함으로써 철학적인 통찰을 얻으려는 작업이다. 1. 2. 언어적 특성(Linguistic Characterizations) 언어적 특성(Linguitic Characterization)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표현은 무엇을 지시(refer)한다, 어떤 표현은 의미가 없다(make no sense), 어떤 표현은 분석적(analytic)이다 등. 언어적 특성들에 대해서 설명하거나 언어적 특성들로부터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언어적 설..

하임&크라처, [생성 문법의 의미론] 요약 정리

제1장 : 진리조건적 의미론과 프레게 프로그램 우리는 어떻게 소수의 음절들만을 갖고 무수히 많은 생각들을 표현할 수 있으며, 어떻게 이전까지는 전혀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문장들 또한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러한 언어적 현상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만약 우리의 생각이 몇몇 부분들(parts)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 부분들이 우리가 구사하는 문장(sentence)의 구성 성분들과 대응된다면, 따라서 문장의 구성 성분들의 다양한 조합이 우리의 사고를 마치 거울처럼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우리의 언어 활동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만약 이 가설이 옳다면, 우리는 적은 수의 문장 구성 성분들이 어떻게 많은 수의 문장들을 조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해 프레게는 다음과 같은 추측을 ..

오스틴, [말과 행위] 요약 정리

J. L. 오스틴 지음, 김영진 옮김, 『말과 행위』 제 1강의 문장에는 단순히 진술문(statement)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명령(command), 기원(wishes) 등 다른 종류의 문장들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문장이 어떤 문장인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이들 각각에 대한 정의는 무엇이며 또 그 한계는 무엇인가? 사실에 관한 진술은 ‘검증할 수’(verifiable) 있어야 한다는 견해가 등장했다. 하지만 진술문과 같이 보이는 많은 발화(utterance)가 실제로는 사실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기록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거나 또는 의도한다 해도 오직 부분적일 뿐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수행적 문장(performative sentence), 수행적 발화(performa..

레일턴, [확률적 설명에 대한 연역-법칙적 모형] 요약 정리

이 논문에서 레일턴은 헴펠의 연역-법칙적 모형이 보여 주는 기본 틀을 받아들이면서, 귀납적 추론에 의한 설명을 반영하기 위해 헴펠이 도입한 귀납-통계적 모형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헴펠의 귀납-통계적 모형에서 설명의 핵심은 설명항이 피설명항이 발생하리라 믿을 수 있는 좋은 근거(높은 확률)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때 문제는 이 모형으로는 피설명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헴펠은 ‘최대 명세화의 요구’를 도입하지만, 이 요구는 우리의 인식적 상황에 따라 설명이 상대화된다는 또다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레일턴은 통계적 설명의 경우도 연역적인 것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위에서 제기되는 난점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설명해야 하는 어떤 현상이 통계적..

프리드만, [설명과 과학적 이해] 요약 정리

이 논문에서 프리드만은 우리가 과학적 설명으로부터 어떻게 세계에 대한 이해를 얻는지를 주목하고, 과학적 이해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 특성들을 추려내어 설명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수립하려 한다. 그에 의하면 이전까지 등장한 과학적 설명에 대한 철학적 이론을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설명이 어떤 내적 관계를 만족해야 하는지는 정확하게 제시하지만, 설명에서의 관계와 과학적 이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별다른 주목을 하지 못한 이론들(헴펠Hempel, 네이글Nagel 등)이다. 둘째는 설명에서 이해가 차지하는 비중을 높게 두기는 하지만, 이 때 이해의 본성이 뭔지를 제대로 밝히지는 못한 이론들(툴민Toulmin, 스크리븐Scriven, 드래이Dray)이다. 헴펠의 모형에서 설명항은 피설명항을 ‘연역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