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연구 이야기 123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1: 기초적 내용

1장 : Preliminaries (기초적 내용) 이 장에서는 시간과 공간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형이상학적 주제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공간에 적용되지 않는 시간 고유의 문제들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1.1. 존재론 : 시간과 공간의 존재 시간과 공간은 존재하는가? 시간과 공간은 별, 행성, 원자, 사람들처럼 독자적인 자격을 갖는 개체들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 물음에 쉽게 답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시간과 공간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는 없다. 뉴트리노, 역장 등과 같은 물리학적 개체들도 보이지 않지만 그 존재를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실체론(substantivalism)은 시간과 공간이 독자적으로 존재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관..

한스 라이헨바흐의 자기소개서 02

1936년 이스탄불대학 철학과 재직 중에 쓴 자기소개서 철학자로서 나는 처음에는 칸트주의를 옹호했다. 하지만 나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칸트적인 체계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나의 책 『상대성이론과 선험적 지식』에서 나는 칸트가 선험적이라고 여겼던 시간과 공간의 특성들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보였다. 이 특성들은 상대성이론에 의해서 오류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이 책에서 나는 지식의 필연적 전제들을 수립하고자 하는 칸트의 계획이 실패하게 된 근거를 제시했다. 인간의 알 수 있는 능력과 자연 사이의 일치는 칸트의 생각처럼 공준화 될 수 없다. 그와 반대로, 인간이 수립한 개념 체계와 자연 사이의 불일치 가능성은 원리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그렇게 불일치하는 경우에..

한스 라이헨바흐의 자기소개서 01

1932년 베를린에서 학술적인 목적으로 쓴 자기소개서 나는 1891년 9월 26일에 함부르크에서 태어났고, 17살 때까지 함부르크에서 학교를 다녔다. 나의 아버지는 함부르크의 도매상인이셨다. 나의 가족들 중에 과학자는 없었고 공학자들만이 몇몇 있었다. 나 역시도 처음에는 공학자가 되고자 했고, 나는 1910년과 1911년 사이의 두 학기 동안 슈트트가르트의 공과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 배웠다. 이 시기에 처음으로 나는 나의 관심이 매우 이론적인 것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후 나는 베를린 대학, 뮌헨 대학, 괴팅겐 대학을 돌아다니며 수학, 물리학, 철학을 공부했다. 나의 스승들 중에는 플랑크, 좀머펠트, 힐베르트, 보른이 있었다. 수학과 물리학 공부와는 달리 철학 공부는 전혀 나를 만족시켜주지 못했다..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의 기초개념과 문제들]

상대성이론의 기초 개념과 문제들 고텐부르크에서 열린 북유럽 자연과학자 대회에서 행한 연설, 1923년 7월 11일 만약 우리가 오늘날 상대성이론의 일부분이 믿을 만한 과학적 지식이라고 인정되고 있음을 고려해본다면, 우리는 이 이론의 주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두 가지 측면에 대해서 주목하게 됩니다. 상대성이론의 전반적인 발전은 다음과 같은 물음, 즉 자연의 운동 상태 중 특별히 물리적으로 선호되는 상태가 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물리적 상대성의 문제). 또한, 물리이론에서는 그 이론에서 등장하는 개념들(concepts)과 특성들(distinctions)에 애매함이 없을 정도로 관측가능한 사실들이 부여될 경우에만(즉, 해당 개념과 특성이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규정(stipula..

논리경험주의를 연구하는 것에 대하여

내가 과학철학을 공부하기 위해서 대학원에 들어갔을 무렵, 과학철학 학계에서는 논리경험주의를 이미 한물 지나간 철학 사조로 여기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나는 논리경험주의를 연구하는 것이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왜 논리경험주의를 연구해야 하는 것일까? 과연 논리경험주의는 어떤 특성을 갖는 서양의 철학사조일까? 왜 한국에서 논리경험주의를 연구하는 것이 의미 있는 것일까? 만약 한국에서 논리경험주의를 연구하는 것이 의미 있다면, 나는 어떤 방식으로 이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일까? 나는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내가 생각하는 바를 서술해보고자 한다. 논리경험주의는 20세기 초기에 서유럽에서 등장한 서양철학의 한 사조였다. 고대에서부터 17세기까지 서양의 자연과학은 서양의 철학과 불가분..

라이헨바흐의 [상대성 이론과 선험적 지식] 소개

① 이 책의 저자 라이헨바흐는 어떤 사람인가? ☞ 대학에서 공학, 수학, 물리학, 철학을 공부한 20세기 초반의 독일철학자다. 물리학에 적용되는 수학적 확률 개념을 주제로 삼아, 수학 교수와 철학 교수의 공동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신회사에서 근무했으며, 대학에서 공학과 철학을 가르쳤다. 자연과학, 공학, 철학을 두루 공부한 철학자였다. ② 19세기에 유럽을 풍미했던 칸트의 자연철학이란 어떠한 것인가? ☞ 칸트는 인간이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이라는 인간의 직관 형식 및 특정한 범주들(질, 양, 관계, 양태)을 통해 사물들을 받아들인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칸트는 감각 경험을 정돈하는 특정한 원리들이 인간에게 있어, 이 원리들을 토대로 모든 감각들을 질서 짓는다고 ..

라이헨바흐의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소개

(01) 이 책의 저자인 한스 라이헨바흐는 누구인가? → 한스 라이헨바흐는 20세기 전반기에 활발히 활동한 과학철학자다. 특히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통계역학과 같은 현대 물리학 이론을 철학적으로 분석한 학자로 알려져 있다. (02) 왜 철학자가 과학이론을 분석하는가? → 19세기 중엽 이후 과학의 전문화가 이루어지면서, 전문적인 과학적 탐구 활동에 비과학자인 일반인이 개입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렇지만 일반인 역시 세계의 작동방식과 구조를 설명하는 과학이론에 관심을 갖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 싶어한다. 철학자는 그 특유의 분석 방법을 통해, 당대의 과학이론이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03) 과학이론에 대한 설명은 그 이론을 만든 장본인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 ..

로빈 르 푸아드뱅이 쓴 [4차원 여행] 요약 정리

○ 제목 : 4차원 여행 – 공간과 시간의 수수께끼들 (travels in four dimensions : Enigmas of Space and Time) ○ 저자 : 로빈 르 푸아드뱅(Robin Le Poidevin) ○ 역자 : 안재권 ○ 출판 : 해나무(2010) ○ 요약 : 강형구(2011-30086),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2015. 7. 23.) ① 1장 : 모든 사물의 척도 우리는 시간 개념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는 하루는 24시간이고, 1시간은 60초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 시간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해가 뜨고 지는 것으로? 그것보다는 손목시계로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그렇지만 손목시계 역시 태엽을 감아주지 않거나 배터리를 충전시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