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연구 이야기 123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11: 절대적 운동

제11장 : 절대적 운동 (Absolute motion) 11.1. 관성 운동 뉴턴은 상대론을 반박하기 위해 두 개의 논증을 제시했다. 첫째는 관성 효과로부터의 논증이다. 유명한 양동이 사고실험이 이 논증에 포함된다. 둘째는 실재 관성 운동으로부터의 논증이다. 두 논증 모두 뉴턴의 첫 번째 운동법칙인 관성의 법칙과 연관되어 있다. 11.2. 실재 관성 운동으로부터의 논증 이 논증은 뉴턴의 『중력(De Gravitatione)』에 포함되어 있는 논증으로, 이 논증은 데카르트의 물리학을 명시적인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다. 데카르트는 관성의 법칙과 운동의 관계적 개념을 둘 다 옹호하였으나, 뉴턴은 이 두 개념이 양립불가능함을 지적한다. 관성의 법칙은 직선 경로 운동과 곡선 경로 운동 사이에 실재적이고 객관적인..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10: 공간 - 고전적 논쟁

제10장 : 공간 - 고전적 논쟁 (Space : the classical debate) 10.1. 마지막 마법사 이제 고전적인 뉴턴 역학의 맥락에서 운동과 공간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자. 이 논쟁에서 뉴턴은 실체론자, 라이프니츠는 관계론자, 갈릴레오와 데카르트는 두 입장 사이에 위치한다.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는 1687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뉴턴은 역학의 포괄적 이론, 보편중력 이론, 미적분학을 발전시켰다. 『원리(프린키피아)』에서 제시된 절대적이고 실체론적인 공간 개념은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뉴턴은 프린키피아에서 절대적 시공간과 상대적 시공간, 참된 시공간과 겉보기 시공간, 수학적 시공간과 일상적 시공간을 구분했다. 그에 따르면 절대적 공간은 그 본성상 외부의 것과 관계없이 항..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9: 진공의 개념

제9장 : 진공의 개념 (Conceptions of void) 공간에 대한 실체론적 관점이 옳을까 관계론적 관점이 옳을까? 공간은 고유의 권리를 가진 대상일까 아니면 공간은 단지 물질적 사물들 사이의 관계로 이루어진 그물망일 뿐일까? 공간의 문제는 시간의 문제와 달리 형이상학적 고려, 우리의 경험 구조에 대한 고려만으로는 알아낼 수 있는 것이 얼마 없다. 따라서 과학적인 고려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9.1. 진공으로서의 공간 공간의 진공 개념은 다음과 같다. 공간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 자신의 내재적인 특질이 없으며, 단순한 부재이다. 사물들은 서로 다른 공간적 거리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사물들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공간 그 자체는 특징 없는 진공이므로, ..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8: 시간 여행

제8장 : 시간여행 (Time travel) 8.1. 시간여행의 가능성과 역설에 대한 물음들 공간에 비해 시간은 많은 제약을 갖고 있다. 공간은 사방으로 움직일 수 있고 왔던 경로로 되돌아갈 수도 있는 반면, 시간은 일차원적이며 같은 비율로 흘러가는 현재에 꼼짝없이 포착당한 것 같다. 과연 시간여행이 가능할까? 아니면 시간의 본성 때문에 시간여행이란 불가능한 것일까? 아래와 같은 주장들을 고려해보자. ① 시간여행은 논리적인 종류의 극복 불가능한 역설을 포함하고 있어, 형이상학적으로 불가능하다. ② 시간여행은 형이상학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우연한 물리법칙들로 인해서 우리 세계에서 금지되어 있다. ③ 시간여행은 형이상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다. 시간여행은 우리 우주에서 일어나거나 일어났을 수..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7: 시간과 의식

제7장 : 시간과 의식 (Time and consciousness) 7.1. 시간에 대한 미시현상학 이 장의 목적은 우리의 의식 흐름 내에서의 순간들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phenomenological)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시간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시간 그 자체에 대한 본성에 대해서 무엇인가를 밝혀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리학자인 데이비스(Davies) 역시, 시간의 흐름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그저 환영이나 착각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렇다면 시간에 대한 경험의 현상학적인 두 가지 측면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지속(persistence)과 변화(change)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속의 경우, 감각이 변하지 않더라도 이에 대한 우리의 의식은 계속 지속되고..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6: 역동적 시간

제6장 : 역동적 시간 (Dynamic Time) 6.1. 성장하는 블록 브로드(Broad)는 자신의 책『과학적 사고(Scientific Thought)』에서 시간에 대한 역동적 이론을 제시했다. 브로드에 따르면, 현재에서 생성(becoming)이 일어나면서 현재를 통해 존재의 총합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과거는 현재만큼 실재하며, 존재하기를 중단하는 것은 없다. 이에 반해, 미래는 전혀 존재성을 가지지 않는다. 이 관점에 따르면 현재에 일어나는 사건이 명확한 ‘현재성’ 속성을 가지지는 않으며, 단지 가장 최근에 덧붙여진 실재의 조각일 뿐이다.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실재의 조각이 덧붙여지고 있을까? 이 물음에 대해, 첫째, 각각의 조각들은 순간적인 것이라고 답할 수 있으며, 둘째, 각각의 조각들은 유한하..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5: 시제가 있는 시간

제5장 : 시제가 있는 시간 (Tensed time) 5.1. 시제 대 역동주의 B-이론은 두 가지 주장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첫째, 세계는 4차원 집합체(ensemble)이며 모든 시간과 사건들은 동등하게 실재하며 공존한다. 둘째, 세계는 시제 없는 용어들로 충분히 기술된다. 저자는 제5장에서 둘째 주장을 거부하는 것의 함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살펴보았듯, 로에(Lowe)는 A-틀을 옹호하며 시제 있는 시간 개념을 수립하고자 애썼다. 이제 이러한 로에의 입장을 검토해보자. 5.2. 시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시제 관점이란, 시간에 대한 형이상학에서 맥태거트의 A-계열 용어들이 필수불가결하다고 받아들이는 입장이다. 비시제 관점이란, 시간에 대한 형이상학에서 B-계열 용어들만을 필수불가결한 것으..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4: 시간 내에서의 비대칭성

제4장: 시간 내에서의 비대칭성 (Asymmetries within time) 4.1. 시간의 방향 시간에 대한 B-이론가들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시간은 흐르지 않지만, 시간의 내용상에서는 비대칭성이 발견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대칭성 때문에 우리는 시간적인 흐름이 있고 시간에 방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시간 그 자체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시간의 내용적 비대칭성이 시간에 방향성을 줄 수 있는지의 여부가 달라진다. 실체론자는 비대칭성과 시간 자체를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고, 관계론자는 비대칭성이 시간 그 자체라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시간의 내용이 비대칭적이지 않더라도 시간이 그 전체로서 비대칭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한쪽 끝만 무한할 수 있으며, 양쪽 다 무한하더라도 한쪽만 분..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3: 블록 우주

제3장 : 블록 우주 (The Block Universe) 3.1. 흐름 없는 시간 맥태거트의 다음과 같은 통찰에 현대의 철학자들은 동의한다. 즉, 우리의 세계는 블록과 같은 4차원 앙상블(집합체)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의 B-이론가들이 맥태거트와 다른 점은, 맥태거트는 시간의 존재를 부정한 반면, 이들은 시간이 흐른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도 시간의 존재를 부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시간은 흐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저자는 3, 4장을 통해 위와 같은 시간에 대한 블록 관점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B-이론은 여러 측면에서 이상하고 반직관적이다. 따라서 B-이론의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임무에 직면한다. 첫째, 시간에 대한 일상적 믿음이 잘못되었음을 보이..

배리 데인튼, [시간과 공간] 요약 정리 02: 시간의 비실재성에 대한 맥태거트의 견해

제2장 : 시간의 비실재성에 대한 맥태거트의 견해 (Mctaggart on time's unreality) 2.1. 시간이 비실재적일 수 있는가? 우리의 경험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세계가 어떠하다고 믿는 것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세계에 실제로 시간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세계에서 시간이 사라진다면 세계에는 아주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철학자 맥태거트는 세계가 우리에게 보이는 것과 같다고 인정하더라도 시간은 비실재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2.2. 시간의 본질로서의 변화 시간의 비실재성에 대한 맥태거트의 논증은 다음과 같다. (1) A-계열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2) A-계열은 형이상학적으로 비일관적이므로, 존재하지 않는다. (3) 따라서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