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이야기 136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4

그라이스(Grice)의 함축 이론 ◎ 썰의 언화행위론(계속) ※ 썰(Searle) : 발화수반행위의 본성 규명 → 발화수반행위는 규칙의 지배를 받는 관습(convention)이다! →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약속(promise)임 ※ 발화수반행위의 조건 9가지(핸드아웃 참조) ① input-output condition ② ③ ‘다음 주까지 은행을 털어서라도 돈을 값겠다’와 같은 예를 배제하기 위한 조건 ④ preparatory rules condition 1 ⑤ preparatory rules condition 2 ⑥ sincerity condition ⑦ essential condition / "obligation" : 기타 발화수반행위들과 약속을 변별하는 요소 ⑧ (언어적 특징) 화자와 청자가 ..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3

오스틴(Austin)과 썰(Searle)의 언화행위론 ◎ 프레게의 형식 의미론(계속) ※ 프레게의 추측: 모든 의미론적 조합성이 합수적 적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All semantic compositionality can be explained as functional application. 이후, 형식 의미론을 과학언어가 아니라 자연언어에 적용하려는 시도. ○ 데이빗슨(Davidson)의 전통 : 형식 의미론은 타르스키의 진리 이론에 의해서 가능하다. → 타르스키 진리 이론 : 문장의 고유명사에는 지시체가 있지만 열린 문장 및 술어, 함수에 대응하는 지시체(reference)는 없다. 다만 이 경우에는 대상이 술어를 ‘만족시킨다’, ‘만족시키지 않는다’만 적용된다(satisfaction). → 이..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2

형식 의미론 서설 1 고틀로프 프레게(Gottlob Frege, 1848~1925)는 세 가지의 학문 분야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학자였던 프레게는 기존의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과 대비되는 수리논리학을 창시했다. 또한 그는 언어철학, 특히 현대 형식 의미론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저서『산술의 근본 법칙』에서 프레게는 최초로 의미의 본성에 대한 중요한 질문들을 형식화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분석철학의 창시자로, 그의 작업이 없었다면 이른바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회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수학자로서의 프레게는 이른바 논리주의 프로젝트를 시도하는데, 이는 수학 특히 대수학(algebra)을 논리학으로 환원시키려는 시도였다. 프레게가 논리주의 프로젝트를 시도하게 된 데에는 두 가지의 이유가 있었다고 생각된..

언어철학연습 강의노트 01

언어철학이란? / 형식 의미론의 간략한 역사 언어철학이란? 기존에는 대륙철학과 분석철학적 전통이 분명히 구분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그 둘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일례로 기존의 과학철학과는 상당히 다른 성격을 띤 토머스 쿤(Thomas Kuhn)의 철학은 대륙철학에서의 구조주의 혹은 후기 구조주의와 유사한 성격을 보인다. 쿤이 프랑스의 과학사학자 코이레(A. Koyré)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 또한 참고하자. 그리고 과학철학과 밀접히 연관된 언어철학적 전통에서도 언어적 진술의 참과 거짓이 논리적 성격이 아닌 맥락적(contextual) 성격에 의해 좌우된다는 논의가 활발하다. 얼핏 보면 영미철학이 대륙철학의 요소들을 상당부분 포섭하려고 하는 것 같다. 이런 현상이 포섭(inclusion..

카트라이트, [물리학 법칙들은 사실들을 기술하는가?] 요약 정리

카트라이트는 이 논문에서 물리학 법칙들은 사실들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며(그런 의미에서 물리학 법칙들은 참이 아니다), 만약 우리가 ‘다른 조건이 같다면(ceteris paribus)’이라는 변경자(modifier, 혹은 제한조건)를 사용하여 물리학 법칙들이 사실들을 기술하게끔 만들면, 물리학 법칙들은 그 특유의 설명력(explanatory power)을 잃어버린다고 주장한다. 그녀에 의하면 법칙의 참됨(truth)(혹은 사실성(facticity), 사실적 내용(factual content))과 설명력 사이에는 상호 배타적인 교환 관계(trade-off)가 성립한다. 사실들을 기술하지 못하기 때문에 법칙 그 자체가 설명력을 갖지 못한다면, 설명에 있어서의 설명력은 법칙이 아닌 다른 무엇인가에 의존할 것이라..

과학철학통론 강의노트 05

인과-기제적 모형(Causal-Mechanical Model) ◎ 과학적 설명에서의 인과의 문제 → 새먼 : 라이헨바흐의 프로그램을 이어 받아 인과를 확률적 관계로 규명 가능하다고 생각. ※ 하지만 과학적 설명에서 인과의 사용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가? ○ 1970년 경 레만(Lehman)이 반프라센의 반례 2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논증을 폈다. p(B/A.p) = 0.3, p(B/A.q) = 0.3, p(B/A.~p.~q) = 0인 경우 새먼적 의미에서의 설명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부분집합으로 분할 한 확률 값이 같으므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생각해야 하는데, 직관적으로는 설명이 일어난 것 같다. ○ 새먼의 두 가지 난점(1989) ① 상이한 원인들이 동일한 통계적 유관 관계를 산..

과학철학통론 강의노트 04

화용적 모형(Pragmatic Model) ◎ 통계적 유관성 모형에 대한 문제제기 ① 제시된 조건들이 충분하지 않다. 예1) 90% 효율의 고엽제를 덩굴 옻나무에 뿌린다. 질문) 이 덩굴 옻나무는 왜 죽었는가? 답) 고엽제를 뿌렸기 때문이다. A : 덩굴 옻나무, B : 죽은 상태, C : 고엽제가 뿌려진, P(B/A) P(B'/A&C) ⇒ 이 경우에도 S-R 모형의 조건을 만족한다. 과연 설명이 이루어졌는가? 암암리에 배경정보가 작용해서 설명의 달성 여부가 판단되는 것 아닌가? ② 제시된 조건들이 필요하지 않다. 예3) 의학적 허구(medical fictio..

과학철학통론 강의노트 03

◎ About Critical Review 헴펠과 스크리븐에서 중요한 논쟁점은 실천 대 이론의 문제가 아니다. 스크리븐(Scriven) : 적어도 ‘설명’에 있어서는 굳이 법칙이 필요하지 않다. 헴펠(Hempel) : 아니다. ‘과학적 설명’에는 법칙이 필요하다. 스크리븐(Scriven) : 법칙이 설명의 일부는 아니다(강한 주장). 법칙이 설명 속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약한 주장). 헴펠(Hempel) : 설명이 산출하는 이해의 ‘정도’는 차이가 있다. 정도가 떨어지는 이해 / 정도가 높은 이해. 주관적 수준의 이해 / 객관적 수준의 이해는 구분될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이해’란 무엇인가? ◎ 새먼(Salmon)의 통계 유관성 모형 (ⅰ) 균질의 조건 : , , ... , 은 의 균질적 분할..

과학철학통론 강의노트 02

통계적 모형(Statistical Model) ◎ D-N 모형의 중요한 결과 : 설명과 예측이 구조적으로 동일하다(symmetry, isomorphsim) 과학활동의 목표? ⓐ 지식과 진리를 추구, 이해하고 설명함(theoretical) ⓑ 세계를 예측하고 조작하는 것(practical) 두 목표는 역사적 관점에서도 서로 일정한 간극(이론적 탐구 대 실천적 활동)이 있었지만, 과학의 전형적인(typical) 사례들을 분석함을 통해 도출된 헴펠의 설명-예측 구조적 동일성은 이러한 두 가지 목표가 통합 가능함을 보여줌. 더 나아가서 헴펠은, 두 가지 목표가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 ◎ 헴펠의 귀납-통계적 모형(Inductive-Statistical Model) 전형적인 과학적 사례들을 관찰한 결과, D-..

과학철학통론 강의노트 01

◎ 과학의 첫 번째 목표 세계에 대한 지식(knowledge)과 이해(understanding)의 추구 이는 진리(truth) 혹은 설명(understanding)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 왜 서로 다른 세 가지의 개념들인 지식․이해․설명을 한 범주로 묶는 것인가? 세 개념들은 모두 진리를 향해 있다. 지식이란 ‘참된 믿음’ : 우연한 과정을 통해서 참된 믿음을 가지게 된 경우는 지식이 아니다. → 지식이란 ‘정당화된 참된 믿음’ (1960년대) 1960년대 초에 게티어의 논문 발표(Gettier) : 직관적으로 판단했을 때,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지만 ‘지식’이 아닌 사례 등장 이후 정확한 지식의 개념(지식의 필요충분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정의들에서 공통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