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이야기 138

국소화되고 역사화된 실재론으로서의 구조적 실재론

토머스 쿤(Thomans Kuhn)이 지적했던 것처럼, 과학의 역사는 ‘과학’이라는 광범위한 범주에 포함되는 여러 이론들이 역사적 과정을 거치며 여러 차례의 의미론적 단절들을 겪어왔음을 보여준다. 갈릴레이의 역학과 뉴턴의 역학 사이, 뉴턴의 역학과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적 역학 사이, 프레넬(Fresnel)의 광학과 맥스웰의 광학 사이에는 깊은 의미론적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에서 제시한 예들에서의 선행 이론과 후행 이론은, 적어도 의미론적 차원에서는 세계와 관계된 동일한 근사적 참을 공유한다고 말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선행 이론과 후행 이론 사이가 완전히 단절되어 있고 상호간 전적으로 독립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대개 후행 이론은 선행 이론이 설명할 수 있었던 경험적 영역을..

환원의 발견법적이고 정당화하는 역할에 대하여

니클즈(Thomas Nickles)는 자신의 논문 “이론간 환원의 두 가지 개념”에서, 이전까지 환원에 대한 과학철학적 논의에서 제대로 부각되지 않았던 환원의 또 다른 측면을 강조한다. 네이글(Nagel)이 제시한 연역적인 환원과 달리, 그의 이른바 ‘두 번째 환원 개념( )’은 이론 사이의 엄격한 논리적 연역 관계를 요구하지 않는다. 니클즈에 의하면, 뉴턴의 고전역학과 아인슈타인(Einstein)의 상대론적 역학, 보어의 고전적 원자모형과 이후 하이젠베르크(Heisenberg)를 비롯한 일군의 물리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양자역학 사이에는 네이글이 제시한 환원적 관계가 아닌 다른 종류의 환원적 관계가 존재한다. 비교적 성공적이었던 선행이론은 잠재적인 후속이론이 만족시켜야 할 조건들을 제시함으로써 가능한 후..

토레티, [기하학의 철학] 요약 정리 04

2.2.5. 리만에서의 공간과 기하학의 문제 베른하르트 리만(1826~1866)은 괴팅겐에서 신학을 공부하던 학생이었으나 수학으로 전공을 바꾼다. 가우스 아래에서 수학을 연구했던 리만은 1854년 6월 10일에 교수자격취득시험 세 번째 시험으로 “기하학의 기초에 놓여진 가설들에 관하여”라는 강연을 한다. 리만은 공간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개념을 명료화하려고 하였으며, 그는 공간을 “일반적인 양적 개념들”을 통해서 “구성하자고”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은 n겹(n-fold)의 확장된 양이 다양한 “계량 관계(metric relations)”를 가능하게 하고, 공간은 “3겹의 확장된 양의 오직 특별한 한 사례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공간의 참된 기하학은 무엇인가? 리만은 공간을 “3겹의 확장된 양”이라 기술하..

토레티, [기하학의 철학] 요약 정리 03

2.2.3. 표면에 관한 가우스 곡률 해당 표면을 표상하는 데 있어 허용 가능한 특정한 해석적 조건들을 부여함으로써 표면의 경우에도 ‘매끄러운 표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와 가 와 에서의 i번째 투영 함수를 지칭한다고 하고, 를 에서 연결되고 열린(혹은 닫힌) 영역이라고 하자. 또, 은 행렬 로 표현되는 미분 가능한 함수라고 하자. 만약 x가 데카르트 사상(mapping)일 경우, 는 를 공간으로 옮긴다. 만약 가 단사(injective) 사상이고 임의의 데카르트 사상 x에 대해서 가 모든 곳에서 모든 차원의 편미분 계수를 갖는 경우, 를 매끄러운 표면이라 부른다. 가 매끄러운 표면이고 가 이 표면 위의 한 점이라고 할 때, 점 P를 지나는 S 위의 모든 곡선들의 접선(탄젠트)들을 포함하는 평면 ..

토레티, [기하학의 철학] 요약 정리 02

2장 : 비유클리드 기하학(Non-Euclidean Geometries) 2장의 1절에서는 볼리아이(Bolyai), 로바체프스키(Lobachevsky)에 의한 BL 기하학의 개발에 대해서 다룬다. 2장의 2절에서는 기하학에 대한 가우스(Gauss)와 리만(Riemann)의 업적을 살피며, 2장의 3절에서는 복수의 기하학을 단일 체계로 통합시키려 했던 클라인(Klein)의 시도를 되짚는다. 2.1. 평행선(Parallels) 2.1.1. 유클리드의 제 5공준(postulate) 제 5공준: 서로 다른 두 직선을 통과하는 한 직선으로 인해 생성되는 같은 방향의 두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 작을 경우, 두 직선이 무한히 연장된다면,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 작은 방향에서 두 직선은 서로 만난다. 이 공준을 통..

토레티, [기하학의 철학] 요약 정리 01

서문(Preface) 이 책은 4장으로 나뉜다. 1장에서는 과학과 철학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2장에서는 1871년에서 73년 사이에 출판된 펠릭스 클라인(Felix Klein)의 논문「이른바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하여」가 나오기 이전까지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전 과정을 기술한다. 3장에서는 19세기에 이루어진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탐구를 다룬다. 4장에서는 존 스튜어트 밀부터 앙리 푸앵카레에까지 이르는, 기하학적 지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에 대해서 논한다. 1장 : 배경지식(Background) 1.0.1. 그리스의 기하학과 철학 그리스의 기하학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바빌로니아의 실용적 기하학의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추론의 사슬을 통한 ‘논증적(argumentative) 기하학’은..

파이어아벤트, [설명, 환원, 경험주의] 요약 정리

2. ‘환원’ 혹은 ‘도출(유도, derivation)에 의한 설명’에 대한 비판 ① 용어 정의 T' : 설명되어야 하는 규칙성들(regularities) 혹은 사실들(facts)의 총체 T : 설명의 기초로서 기능하는 이론 D' : T'가 올바른 예측들을 제공하는 영역 D : 이론 T가 상정하는 영역 (이 때, D'⊂D) ② 새로운 이론(혹은 설명)의 조건 조건 1 : 해당 영역에서 기존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던 이론들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이러한 기존 이론들과 정합적인(consistent) 이론들만이 허용된다. 위와 같은 조건 1은 논리경험주의자들(대표적으로 헴펠Hempel) 뿐만 아니라 물리학자들(마흐Mach)도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양자역학적 현상에 대한 예측은 거시적 규모에서 고전물리학의 예측 ..

반프라센, [과학적 실재론 옹호 논변들에 대한 반박] 요약 정리

1. 과학적 실재론과 구성적 경험론 1.1. 과학적 실재론이란 : 논의를 위한 개념 정의 ① 소박한(naive) 정의 : 과학이 우리에게 제공해주는 세계상(또는 세계에 대한 그림)은 참되고, 세부사항에 있어서 믿을만 하며, 과학에서 가정된 존재자는 실제로 존재한다. 과학의 진보는 발견이지 발명이 아니다. 소박한 정의의 이점 : 과학이론이 무엇인가? 과학이론은 무엇을 하는가? 라는 두 가지 질문에 답을 준다. 과학이론은 무엇이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관한 이야기이다. 과학활동은 발명과 반대되는 의미에서 발견하는 작업이다. ② 셀라즈(Sellars)의 정의 : 한 이론을 수용할 좋은 이유가 있다는 것 그 자체가 그 이론에서 가정된 존재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수용할 좋은 이유가 된다. ③ 엘리스(Ellis)의 정의..

라우든, [수렴적 실재론에 대한 논박] 요약 정리

1. 문제 인식론적 실재론은 일종의 경험적인 가설이며 이는 과학적 활동을 설명하는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는 논자들(보이드Boyd, 뉴턴 스미스Newton-Smith, 시모니Shimony, 퍼트남Putnam, 프리드만Friedma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하면 인식론적 실재론은 경험적인 시험에 열려 있다. 그러나 인식론적 실재론은 역사적 증거들을 통해서 입증되는 것이 아니라 논박된다. 2. 수렴적 실재론(Convergent Epistemological Realism, 줄여서 CER) ① 수렴적이고 인식론적인 실재론의 주장 R1) (적어도 ‘성숙한’ 과학에서의) 과학적 이론은 대개 근사적으로 참이며, 해당 영역에서의 좀 더 최신 의 이론은 이전의 이론에 비해서 더 참에 가깝다. R2) 성숙한 과..

최소주의에서의 의미론, 화용론, 형이상학

최소주의에서의 의미론, 화용론, 형이상학 1. 여는 말 : 언어철학의 삼중주- 의미론, 화용론, 형이상학 언어는 세계에 대한 창이기도 하지만 인간에 대한 창이기도 하다. 세계에 대한 창으로서의 언어는 주로 수학과 물리학, 즉 자연과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언어를 우리는 이른바 ‘형식언어’라고 부른다. “같은 것에 같은 것을 더하면 서로 같다”,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는 상호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서로를 끌어당긴다”, “정지 질량이 인 물체는 의 에너지를 가진다” 등의 문장들은, 비록 인간이 가진 언어의 형식을 빌리고 있다 하더라도, 세계에 존재하는 현상 일반(수 및 물리적 대상)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세계에 대한 이러한 진술들의 참과 거짓은 인간과 무관하게 객관적인 성질을 갖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