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이야기

그라이스, [지시적 조건문] 요약 정리

강형구 2016. 6. 25. 11:06

 

그라이스(Grice), Studies in the Way of Words2~4

 

2: 논리와 대화(Conversation)

 

   논리학에서의 ~, , 이 일상언어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형식주의자들(formalists)은 형식체계를 통해 다양한 문장을 생성하고 이를 자연언어와 대응시킨 후, 대응되는 부분이 없을 경우에는 자연언어에 결점이 있다고 한다. 반면 비형식주의자들(informalists)은 자연언어에는 형식체계로는 구현될 수 없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라이스가 생각하기에 형식주의자들비형식주의자들 모두 대화를 지배하는 조건(이른바 함축implicature)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함축(Implicature)

 

   말해진 것과 함축된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함축하다(implicate), 함축(implicature), 함축된 것(implicatum) 사이의 구분이 필요하다. 관습적(conventional) 의미가 발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를 하지만 함축된 것 모두를 표현하지는 못한다. 비관습적 함축인 이른바 대화적 함축(conversational)을 지배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협력(cooperative)의 원리다.

 

협력의 원리(Cooperative Principle)

   Make your conversational contribution such as required, at the stage at which it occurs, by the accepted purpose or direction of the talk exchange in which you engaged.

 

(Quantity)의 원리

1. Make your contribution as informative as is required (for the current purposes of the exchange). : 충분한 정보 제공

2. Do not make yout contribution more informative than is required. 과도한 정보 지양

  

(Quality)의 원리

1. Do not say what you believe to be false. 거짓 ×

2. Do not say that for which you lack adequate evidence. 충분한 정보가 아닌 것 ×

  

관계(Relation)의 원리 : Be relevant. 상관 있는 것만 말하라.

  

태도(Manner)의 원리 : Be perspicuous. 명료하라.

1. Avoid obscurity of expresseion. 모호함 ×

2. Avoid ambiguity. 애매함 ×

3. Be brief (avoid unnecessary prolixity). 간결함

4. Be orderly. 질서정연함

 

   협력의 원리는 상호간 가장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가정 하에 제시된 것이다. 그라이스는 협력의 원리가 대화자들이 포기해서는 안 되는 합리적인 대화 원리임을 주장한다. 대화가 협력적인 이유는 같은 목적을 공유하기 때문이고, 참여자의 기여(contribution)가 상호의존적으로 잘 들어맞아야 하고, 합당한 형태의 교류가 일정 기간 지속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라이스는 대화 참여자가 대화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등 대화의사소통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협력의 원리와 세부 격률들(maxims)을 따라야 함을 보인다.

 

화자인 Ap를 말함으로써 q를 함축할 경우,

(1) he is to be presumed to be observing the conversational maxims, or at least the Cooperative Principle;

(2) the supposition that he is aware that, or thinks that, q is required in order to make his saying or making as if to say p (or doing so in those terms) consistent with this presumption;

(3) the speaker thinks (and would expect the hearer to think that the speaker thinks) that it is within the competence of the hearer to work out, or grasp intuitively, that the supposition mentioned in (2) is required.

 

표준적인 조건에서 청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

(1) the conventional meaning of the words used, together with the identity of any references that may be involved;

(2)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its Maxims;

(3) the context, linguistic or otherwise, of the utterence;

(4) other items of background knowledge;

(5) the fact (or supposed fact) that all relevant items falling under the previous headings are available to both participants and both participants know or assume this to be the case.

 

대화적 함축의 사례들

 

Group A : Examples in which no maxim is violated, or at least in which is not clear that any maxim is violated.

 

Group B : Examples in which a maxim is violated, but its violation is to be explained by the supposition of a clash with another maxim.

 

Group C : Examples that involve exploitation, that is, a procedure by which a maxim is flouted for the purpose of getting a conversational implicature by means of something of the nature of a figure of speech.

 

(1a) A flouting of the first maxim of Quantity

(1b) An infringement of the second maxim of Quantity, "Do not give more information than is requir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xistence of such a maxim should me admitted.

(2a) Examples in which the first maxim of Quality is flouted.

Irony(반어법), Metaphor(은유법), Meiosis(완곡어법), Hyperbole(과장법)

(2b) Examples in which the second maxim of Quality.

(3a) Examples in which an implicature is achieved by real, as distinct from apparent, violation of the maxim of Relation.

(4a) Examples in which various maxims falling under the supermaxim "Be perspicuous" are flouted.

Ambiguity

Examples in which there is no difference, or no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wo interpretations of an utterance with respect to straightforwardness.

Examples in which one interpretations is notably less straightforward than another.

Obscurity

Failure to be brief or succinct.

 

일반화된 대화적 함축

 

Three senses of the form of expression an X

something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defining the word X.

  

an X (in the first sense) that is only remotely related in a certain way to some person indicated by the context.

  

an X (in the first sense) that is closely related in a certain way to some person indicated by the context.

 

대화적 함축이 갖춰야 하는 조건들

At least the Cooperative Principle is being observed.

  

Insofar as the calculation that a particular conversational implicature is present requires, besides contextual and background information, only a knowledge of what has been said (or of the conventional commitment of the utterance), and insofar as the manner of expression plays no role in the calculation, it will not be possible to find another way of saying the same thing, which simply lacks the implicature in question, except where some special feature of the substituted version is itself relevant to the determination of an implicature (in virtue of one of the maxims of Manner).

  

Presupposes an initial knowledge of the conventional force of the expression, conventional implicatum is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specification of the expression's conventional force.

  

The implicature is only by the saying of what is said, or by "putting it that way."

  

Calculate a conversational implicature / There may be various possible specific explanations, disjunction of such specific explanations

 

4: 지시적 조건문(Indicative Conditionals)

    

   조건문(conditional)과 추론 가능성(inferrability)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으며, 이를 강한(strong)” 연관이라고 하자. 특정한 맥락 속에서 “p이면 q이다라고 말할 때, 화자는 pq 사이에 진리치 관계가 충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둘 사이에 강한연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는 비관습적(비언어적) 함축을 나타낸다. ‘이면을 나타내는 if는 비가환적(noncommutative) 접속사일 뿐만 아니라 if에는 조건문 형태에 적합한 특수한(specific) 언어적 기능이 있다.

 

  

   if는 전제로부터 결론으로 이르는 사고의 연쇄적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 if를 통해서 이전의 물음에 대한 답이 긍정인 경우 이후의 물음에 대한 답 또한 긍정일 것임을, 이후의 물음에 대한 답이 부정일 경우 이전의 물음에 대한 답 또한 부정일 것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론 능력은 우리가 세계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한다. 조건문 형태가 이러한 사고 전개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조건문에 포함되는 요소들의 실제적인 진리치와는 무관하게, 조건문 자체가 전제와 결론 사이의 진리치 관계를 충족시키는 강한 관계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조건문 형태는 선언적 형태와는 달리 정보를 제거하는(eliminate) 것이 아니라 축적하는(accumulative) 기능을 담당한다.

 

  

   if의 관습적인(사전적인) 의미는 실질 함축의 진리치 관계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진리치 관계를 넘어서는 강한 연관이 함축될 경우 이 함축은 사전적인 의미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대화적 함축(conversational implicature)으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강한 함축은 협력의 원리 특히 양(Quantity)의 첫째 격률(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것)로부터 비롯될 수도 있으며, 사고 전개와 관련된 조건문의 언어적 기능으로부터 비롯될 수도 있다. 전제의 내용을 부정하는 조건문(만약 이 아니라면)을 구사할 경우, 이는 화자와 청자가 그러한 가정적 조건에 대한 공통된 배경 지식을 갖는다는 것을 전제한다. 화자와 청자가 공통된 배경 지식을 갖는 이유는, 대화자들의 입장에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다른 대안의 본성을 탐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p이면 q이다가 실질적(material) 조건문이라는 것에 대한 증명(proof)”.

(1) AB가 참이다. (가정)

(2) 의 정의에 따라, (~A, B)인 진술들의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참이다.

(2) 로부터 다음이 도출된다.

(3) 만약 ~A가 거짓이면, B는 참이다.

만약 A가 참인 경우 오직 그 때만 ~A가 거짓이라고 한다면

(4) 만약 A가 참이면, B는 참이다.

(4) 로부터 다음이 도출된다.

(5) 조건문 “p이면 q이다는 참이다.

결론적으로, 일상적인 조건문은 대응되는 실질적 조건문으로부터 도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