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철학 이야기

라우든, [수렴적 실재론에 대한 논박] 요약 정리

강형구 2016. 7. 26. 06:43

 

 

1. 문제

   인식론적 실재론은 일종의 경험적인 가설이며 이는 과학적 활동을 설명하는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는 논자들(보이드Boyd, 뉴턴 스미스Newton-Smith, 시모니Shimony, 퍼트남Putnam, 프리드만Friedman )이 있다. 이들에 의하면 인식론적 실재론은 경험적인 시험에 열려 있다. 그러나 인식론적 실재론은 역사적 증거들을 통해서 입증되는 것이 아니라 논박된다.

 

2. 수렴적 실재론(Convergent Epistemological Realism, 줄여서 CER)

  

수렴적이고 인식론적인 실재론의 주장

R1) (적어도 성숙한과학에서의) 과학적 이론은 대개 근사적으로 참이며, 해당 영역에서의 좀 더 최신 의 이론은 이전의 이론에 비해서 더 참에 가깝다.

R2) 성숙한 과학에서의 이론에 포함된 관찰 용어와 이론 용어들은 세계에 있는 실제의 대상을 지칭한다.

R3) 성숙한 과학에서 등장하는 이후의 이론은 이전의 이론이 포함하고 있는 이론적 관계들과 이전의 이 론이 명백하게 지칭하고 있는 대상들을 보존한다.

R4) 이전의 이론이 성공적이었을 경우, 뒤따르는 이론은 이전의 이론이 왜 성공적이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R5) R1~R4에 의해 성숙한 과학 이론은 성공적이어야 함이 도출된다(entail); 실제로 위와 같은 설 명이 과학의 성공에 대한 최선의 설명이다. 과학의 경험적인 성공은 실재론에 대한 결정적인 경험적 입 증이 된다.

  

실재론의 입장에서 제시하는 두 종류의 추론(개연적 삼단논법 혹은 귀추법)

A1) 만약 과학 이론이 근사적으로 참이라면, 이는 대개 경험적으로 성공적이다.

A2) 만약 과학 이론의 중심적 개념들이 실제의 대상을 지칭한다면, 그 이론은 대개 경험적으로 성공적 이다.

A3) 과학 이론은 경험적으로 성공적이다.

A4) (아마도) 과학 이론은 근사적으로 참이고 그 이론의 개념들은 실제의 대상을 지칭한다.

B1) 만약 성숙한 과학에서의 이전 이론이 근사적으로 참이고 그 이론의 중심 개념들이 실제의 대상을 지칭한다면, 동일한 과학에서 이후에 등장한 더 성공적인 이론은 이전 이론을 하나의 제한적인 사례로 보존해야 한다.

B2) 과학자들은 이전의 이론을 제한적인 사례로 보존하려고 하며, 이 방법은 대개 성공적이다.

B3) (아마도) 성숙한 과학에서의 이전 이론은 근사적으로 참이고 실제의 대상을 지칭한다.

  

과연 실재론자들이 위에서 제시하는 참됨(truth), 지칭(reference), 성공(sound) 사이의 관계가 타당한가? 과연 위에서 제시된 실재론자들의 추론(귀추법)의 전제들이 타당한가? 라우든에 의하면 위에서 제시된 5개의 전제들 중 4개들은 거짓이거나 받아들이기에 너무 모호하다. 또한 그에 의하면 이 전제들이 참이라고 하더라도 이 전제들로부터 A4)B3)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

  

3. 지칭과 성공

  

지칭적 실재론자의 입장(대표적으로, 퍼트남Putnam)

S1) 발전된 혹은 성숙한 과학에서의 이론은 성공적이다.

S2) 이론의 중심적 개념들이 실제의 대상을 지칭하는 이론은 성공적인 이론일 것이다.

S3) 만약 한 이론이 성공적이라면, 그 이론의 중심적인 개념이 실제의 대상을 지칭한다고 합리적으 로 추론할 수 있다.

S4) 성숙한 과학에서의 이론에 등장하는 모든 중심적 개념들은 실재의 대상을 지칭한다.

성공적인 이론이란? 하나의 이론이 실질적으로 정확한 예측을 제시하고, 자연의 질서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으며, 표준적인 시험을 통과할 경우 그 이론은 성공적이다.

  

지칭적 실재론에 대한 비판

    

   S1의 경우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S2? 실제의 대상을 지칭하지만 성공하지 못했던 과학 이론들에 대한 역사적인 사례들(18세기 화학적 원자론, 모든 무거운 원자들이 수소원자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프라우트Prout의 이론, 베게너Wegener의 대륙이동설)이 풍부하다. 실제의 대상을 지칭하는 이론이 결정적으로 성공적일 필요는 없는데, 왜냐하면 그 이론들의 상당 부분이 거짓일 수 있기 때문(돌튼Dolton의 원자론, 보어Bohr의 초기 원자론 등)이다. 따라서 S2는 틀렸다!

  

   S3은 지칭 개념을 통해 과학 이론의 성공을 설명하려는 지칭적 실재론자의 입장을 강하게 지지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에테르 이론 및 플로지스톤 이론 등 실제 대상을 지칭하지 않으면서도 성공적이었던 이론의 사례들을 잘 설명해주지 못한다. 18세기와 19세기에 물리학과 화학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던 미세 유체 이론도 마찬가지의 경우다. , 실제 대상을 지칭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성공적인 과학 이론이 있을 수 있고, 적어도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를 보여주는 몇몇 주요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지칭적 실재론자들의 주장 S3은 틀렸다!

  

   결론적으로, 지칭이론을 통해 R2를 지지하려는 시도는 실패한다.

 

4. 근사적 참과 성공 : 하향식 방법(Downward Path)

  

근사적 참을 지지하는 입장

T1) 만약 한 이론이 근사적으로 참이라면, 이 이론은 현상을 성공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T2) 만약 한 이론이 성공적으로 설명한다면, 이 이론은 아마 근사적으로 참일 것이다.

숨은 전제 T1') 만약 한 이론이 참이라면, 이 이론은 성공적일 것이다.

  

근사적 참에 대한 비판(01)

    

   이 입장을 지지하는 논자들은 은연 중에 T1'에서 T1을 도출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론이 참인 것과 이론이 근사적 참인 것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지를 명쾌하게 해명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추론을 정당화할 수 없다. 더군다나 이론이 근사적 참이라는 것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이론이 근사적으로 참이라고 해서 곧바로 이 이론이 성공적인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이 도출되지 않는다. 근사적으로 참이지만 그 이론의 모든 시험된 귀결들이 거짓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31쪽의 각주 10 참고). 따라서 우리는 R1을 보장할 수 없다(T1에 대한 반박).

  

5. 근사적 참과 성공 : 상향식 방법(Upward Path)

  

근사적 참에 대한 비판(02)

  

   그렇다면 설명에 있어서의 성공이 근사적 참을 판단하는 합리적인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을까(T2)? 아니다! 성공적인 설명력을 갖고 있었으면서도 이후에 그릇된 과학 이론으로 판명된 사례들이 상당히 많다(고대와 중세의 수정 천구 이론, 의학에서의 체액 이론, 정전기학의 유체 이론, 지질학에서의 격변 이론, 화학의 플로지스톤 이론, 열에 대한 열소 이론, 열의 진동 이론, 생리학에서의 생기력 이론, 전자기 에테르 이론, 광학 에테르 이론, 원형 관성 이론, 자발적 생성 이론 등).

  

   실재론자들이 논의를 성숙한과학에 한정한다고 해도 문제는 남는다. 그러한 경우 실재론자들의 입장은 공허해지거나(vacuous), 논박되거나 입증될 수 없는 의심스러운(dubious) 것이 되어버린다. 또한 실재론자들의 목적이 과학의 성공을 기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데 있다면, 이들은 성숙한 과학 이외의 다른 많은 과학들의 성공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더 나아가 과학사에서는 실제의 대상을 지칭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이었으면서도 근사적 참이었다고 말하기 힘든 이론들(1960년 이전의 구조적 지질학, 1920년 이전의 화학 이론 등)이 많이 등장한다.

 

6. 수렴(convergence)과 보존(retention)에 관련한 혼동(confusion)

  

수렴 혹은 보존에 대한 실재론자들의 입장

C1) 한 과학에서의 이전 이론이 성공적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근사적 참이었다면, 이후 과학자들은 이전 이론의 적합한 부분들을 보존하는 이론들만을 받아들여야 한다.

C2) 실제로 과학자들은 C1의 전략을 받아들이고 있고, 이 전략을 통해서 새롭고 성공적인 이론들을 생산하고 있다.

C3) 이와 같은 사실은 이전 과학 이론이 실제의 대상을 지칭하며 근사적으로 참임을 보여준다. 따 라서 전략 C1은 합당하다.

  

과학자들은 CER의 전략(C1)을 받아들이는가? 아니다!

  

이후의 이론들은 이전의 이론이 갖고 있던 메커니즘, 모형, 법칙들을 보존하는가? 아니다!

  

이론들은 실재론자들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수렴되는가? 아니다!

    

7. 실재론자들의 본질적인 전략에 대하여

  

   요점 : 실재론자들은 과학이 성공적이라는 사실을 토대로 실재론을 주장하고, 동시에 실재론이 과학의 성공을 잘 설명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실재론을 정당화하려 한다. 하지만 이런 식의 정당화는 회의주의의 입장에서 충분히 문제 제기할 수 있다. 그릇된 이론으로부터도 참인 결론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