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 6

차동우 교수님을 존경함

나는 지금껏 여러 번 인하대학교 물리학과의 차동우 교수님(명예교수)에 대한 나의 존경심을 표현해 왔다. 나는 이러한 존경심을 다시 한번 표현할 필요성을 느낀다. 나는 과학사 및 과학철학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로서 이러한 존경심을 표현함을 밝힌다. 나는 물리학자가 아니므로 물리학 연구자로서 이와 같은 존경심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고등학생 시절 차동우 교수님을 책을 통해 알았다. 교수님은 [물리 이야기](로이드 모츠)와 [새로운 물리를 찾아서](바바라 러벳 클라인)라는 물리학 역사책을 번역하셨고, 학생이던 나는 이 책들을 흥미롭게 읽었기 때문이다. 대학 시절에는 교수님께서 물리학 강의록들을 책으로 출판하셨음을 알았다. 대학원에 다닐 때는 교수님께서는 물리 철학자로 유명한 데이비드 알버트의 ..

일상 이야기 2023.05.30

학술대회 발표 준비

만약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의 시간과 공간 질서가 빛 신호(세계에서 가장 빠른 신호)를 통해서 수립될 수 있고, 특히 이렇게 빛 신호를 통해 수립되는 사건들 사이의 위상적 관계가 계량적 관계와 달리 기준계와 무관하게 불변한다면, 우리는 눈을 떠 세계를 바라보고 있는 이 순간 세계의 객관적인 시간과 공간 질서를 파악하고 있는 셈이다. 세계는 인과적 영향들로 가득 차 있다. 내게 빛 신호를 보내고 있는, 그래서 내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모든 사건은 나에게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과성만으로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설명할 수 없나? 시간이 흐르기 때문에 원인은 원인이 되어 결과를 초래하는 것일까? 아니면 원인과 결과가 있을 뿐이며 시간..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삶

내가 과학철학에서의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구분을 배운 것이 대학 시절이니 벌써 2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다. 이 맥락 구분의 근거가 되는 책이 라이헨바흐의 [경험과 예측]인데, 나는 어제 이 책의 초벌 번역을 끝냈다. 번역을 끝낸 후 나는 분명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구분이 이 책에서 나오긴 하지만(아주 초반부에) 그것이 이 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우리는 좀 더 포괄적인 맥락에서 이 책의 핵심 메시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책의 중요성을 오늘날의 과학철학계에서 얼마나 높이 평가할까? 라이헨바흐에 대한 논의는 우리나라 과학철학계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게 현실이다. 내가 열심히 라이헨바흐를 연구하고 그 성과를 발표한다고 해서 이러한..

일상 이야기 2023.05.21

젤다의 전설 : 모형화된 자연 세계에서 놀기

휴대용 게임기인 “닌텐도 스위치”로 플레이할 수 있는 “젤다의 전설 : 왕국의 눈물”이 2023년 5월 12일에 출시되었다. “더 위쳐 3”, “어쌔신 크리드” 2, 3, 4편을 플레이해 본 경험이 있는 내가 다시 “젤다의 전설”을 플레이하게 되었다. 기존에 플레이하던 “어쌔신 크리드”를 잠시 멈춘 것이다. 확실히 “젤다의 전설”은 아주 훌륭한 게임이다. 예를 들어, 나는 “위쳐”와 “어쌔신 크리드”로 인해 새벽까지 잠을 이루지 못한 적은 없다. 그러나 “젤다의 전설”은 다르다. 전작인 “야생의 숨결”을 할 때도 하다 보니까 새벽이었고, 이번 “왕국의 눈물” 또한 마찬가지다. 그만큼 “젤다의 전설”은 최소한 나에게 아주 매력적인 게임이다. 이 게임에서 그리고 있는 자연의 세계가 매우 경이롭다. 실제 우리..

일상 이야기 2023.05.16

하고 또 하고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 하고 또 하면서 잘하게 된다. 잘하게 되는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10번 한 후에 잘하게 되는 사람(A)이 있는가 하면, 100번 한 후에 비로소 잘하게 되는 사람(B)이 있다. B의 입장에서는 A가 너무 부럽고 왜 자신이 A보다 못하는 것인지 원망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잘하게 되는 속도는 사람마다 다른 것이지, 그것이 어떤 절대적인 특성인 것은 아니다. 만약 그 일(T)을 정말 하고 싶다면, B는 A와는 상관없이 그 일을 100번 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멈추지 않고 그 일을 계속해서 하는 것이다. 내 생각에 나는 어떤 일을 100번 한 후에 잘하게 되는 유형의 사람, 즉 A가 아닌 B 유형의 사람이다. 지금까지 나는 살아오면서 A 유형의 사람들을 충분히 봐 왔다...

일상 이야기 2023.05.12

Philosophy First

내가 정말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 중 하나는 내가 철학을 전공했다는 것이다. 철학은 근본적이면서도 멋진 학문이다. 물론 철학만을 전공하거나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을 해도 되고 그런 형식적인 전공에 매이고 싶지 않다면 철학 말고 다른 것을 따로 공부하고 익히면 된다. 철학을 밑천으로 삼아 영화를 찍어도 음악을 만들어도 행정이나 법을 공부해도 된다. 계속 철학을 공부해서 철학으로 살아가려면 철학만 공부해도 되지만 사실 다른 학문이나 삶의 여러 측면을 두루 고찰하지 않는 철학이라면 그다지 흥미로울 것 같지 않다. 철학으로 살아가려고 해도 다른 학문 혹은 세계의 여러 모습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어쨌든 나는 철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을 참 잘했다고 생각한다. 내가 지금껏 살아오면..